‘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스와힐리어 동사 확장에 나타난 문법 불균형과 도상성의 의의
Grammatical Asymmetry and Iconicity in the Structure of Kiswahili Verbal Extension System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31 |
1 |
2012 |
기타아프리카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The Linguistics of Writing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The Linguistics of Writing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 문체론(stylistics)을 중심으로
The Rhetorical Study of Ko, Seok-Gyu's Criticism - Laying Stress on Stylistics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The Linguistics of Writing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작문의 언어학 (1) - ‘언어적 지식’에 근거한 첨삭 지도 방법론-
The Linguistics of Writing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의 위계와 어법의 균열 -해방기~1960년대, 한국의 언어적 혼종상태와 문학자의 자의식
Hierarchy of Languages and Rupture of Grammar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 문체론(stylistics)을 중심으로
The Rhetorical Study of Ko, Seok-Gyu's Criticism - Laying Stress on Stylistics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The Use and Cognition of Korean of the Students in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The Use and Cognition of Korean of the Students in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Пароним као логичко-граматички термин
Пароним как граматическо-логический термин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Пароним као логичко-граматички термин
Пароним как граматическо-логический термин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독서와 문법’ 교과서 단원 구성 방향
Direction of unite Construction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독서와 문법’ 교과서 단원 구성 방향
Direction of unite Construction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s of '그런데'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국어 규범’과 ‘글쓰기’
Korean Language standard rules and writing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The Use and Cognition of Korean of the Students in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The Use and Cognition of Korean of the Students in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서와 문법’ 교과서 단원 구성 방향
Direction of unite Construction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독서와 문법’ 교과서 단원 구성 방향
Direction of unite Construction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Пароним као логичко-граматички термин
Пароним как граматическо-логический термин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Пароним као логичко-граматички термин
Пароним как граматическо-логический термин
슬라브어 연구 |
15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박목월 시에 나타난 경상도 방언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Gyeongsang Provinces dialect in Park, Mok-Yeoul' poems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문체론 연구에서 보이는 남북한 차이
文体研究方面的 南北韩 差异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문법과 문학의 통합과 텍스트 활용 양상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Grammar domain in Middle School Textbook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의 독일어 대응을 중심으로
Grammatikunterricht für Koreanisch-Lernende in deutschsprachigen Ländern - Die koreanischen Partikel ‘-이/가’, ‘-은/는’ und ihre Entsprechungen im Deutschen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의 독일어 대응을 중심으로
Grammatikunterricht für Koreanisch-Lernende in deutschsprachigen Ländern - Die koreanischen Partikel ‘-이/가’, ‘-은/는’ und ihre Entsprechungen im Deutschen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문법과 문학의 통합과 텍스트 활용 양상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Grammar domain in Middle School Textbook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글쓰기의 국어학적 분석
The linguistic analysis of college writing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의 국어학적 분석
The linguistic analysis of college writing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古代汉语》文选注释不能忽视修辞法阐释
Rhetoric Explanations Could not be Neglected on the Literary Selections Annotation in “Ancient Chinese”
한중언어문화연구 |
24 |
2010 |
중국어와문학
《古代汉语》文选注释不能忽视修辞法阐释
Rhetoric Explanations Could not be Neglected on the Literary Selections Annotation in “Ancient Chinese”
한중언어문화연구 |
|
24 |
2010 |
중국어와문학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The Status of Discourse as Representamen of Educational contents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능력시험(TOPIK) 고급형 문제지의 오류 분석
Error Analysis of the Test Paper for the Advanced Level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언어과학연구 |
59 |
2011 |
언어학
중세 유럽의 문자개념과 문자관 - 세비야의 이시도루스의 『어원』을 중심으로 -
Concepts and Ideas on litterae in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서양중세사연구 |
30 |
2012 |
역사학
강원 방언과 강원 문학 —문학 작품 속의 강원 방언의 특징—
Regional dialects and literature in Kangwon-do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通信敎授日語講義錄』考察
A Study on the Learning Magazine "Correspondence Lecture Note for Japanese Study"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通信敎授日語講義錄』考察
A Study on the Learning Magazine "Correspondence Lecture Note for Japanese Study"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아랍어의 Iltifāt 연구 -꾸란 텍스트의 격과 시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Iltifāt in the Arabic Language -Case and Tense-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아랍어의 Iltifāt 연구 -꾸란 텍스트의 격과 시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Iltifāt in the Arabic Language -Case and Tense-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강원 방언과 강원 문학 —문학 작품 속의 강원 방언의 특징—
Regional dialects and literature in Kangwon-do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고급형 문제지의 오류 분석
Error Analysis of the Test Paper for the Advanced Level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언어과학연구 |
59 |
2011 |
언어학
중세 유럽의 문자개념과 문자관 - 세비야의 이시도루스의 『어원』을 중심으로 -
Concepts and Ideas on litterae in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서양중세사연구 |
30 |
2012 |
역사학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The Status of Discourse as Representamen of Educational contents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국어 규범’과 ‘글쓰기’
Korean Language standard rules and writing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STAD 협동학습을 통한 토익 독해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TOEIC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us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현대영어교육 |
13 |
3 |
2012 |
영어교육
아랍어의 Iltifāt 연구 -꾸란 텍스트의 격과 시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Iltifāt in the Arabic Language -Case and Tense-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아랍어의 Iltifāt 연구 -꾸란 텍스트의 격과 시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Iltifāt in the Arabic Language -Case and Tense-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通信敎授日語講義錄』考察
A Study on the Learning Magazine "Correspondence Lecture Note for Japanese Study"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通信敎授日語講義錄』考察
A Study on the Learning Magazine "Correspondence Lecture Note for Japanese Study"
외국학연구 |
14 |
2 |
2010 |
기타인문학
STAD 협동학습을 통한 토익 독해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TOEIC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us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현대영어교육 |
13 |
3 |
2012 |
영어교육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에 대한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를 대상으로-
A Study of an Integrated Model of Text and Grammar Based on the Genus - on th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문독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How to teach “English Reading?”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rehension of texts by Grammar knowledge - Focusing on form ‘-dorok ha-’ and ‘-ge ha-’ in newspaper texts
국어교육연구 |
25 |
2010 |
국어교육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rehension of texts by Grammar knowledge - Focusing on form ‘-dorok ha-’ and ‘-ge ha-’ in newspaper texts
국어교육연구 |
|
25 |
2010 |
국어교육
Advice Giving in College EFL Writing Tutorials
담화와 인지 |
18 |
3 |
2011 |
언어학
토익 독해 수업에서 문법 강조와 어휘 강조의 효과
The Effects of Grammar-Focused and Vocabulary-Focused Teaching in TOEIC Reading Classes
현대영어영문학 |
55 |
2 |
2011 |
영어와문학
언어화 과정에서 본 문법의 기능에 대하여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 - 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을 활용하여
A study on grammar in the context-based negative expression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3 |
2012 |
언어학
글쓰기의 국어학적 분석
The linguistic analysis of college writing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의 국어학적 분석
The linguistic analysis of college writing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문독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How to teach “English Reading?”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Zmiany w opisach fleksyjnych w gramatykach języka polskiego z lat 1817−1939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the inflection in Polish grammar from 1817−1939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아랍국가의 한국어 교육현황 -이집트, 요르단, 모르코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Egypt, Jordan and Morocco-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아랍국가의 한국어 교육현황 -이집트, 요르단, 모르코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Egypt, Jordan and Morocco-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구어 한국어를 위한 문법 모형
Modeling for a Spoken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어 한국어를 위한 문법 모형
Modeling for a Spoken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중심성 원리의 해석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f Communicative Perspectives in Grammar Education - Focused on Text-Based Principle in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에 대한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를 대상으로-
A Study of an Integrated Model of Text and Grammar Based on the Genus - on th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Zmiany w opisach fleksyjnych w gramatykach języka polskiego z lat 1817−1939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the inflection in Polish grammar from 1817−1939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능숙도 및 인지양식에 따른 코퍼스 활용 영어 문법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Cognitive Styles
영어영문학연구 |
53 |
1 |
2011 |
영어와문학
신문 보도 기사의 객관성과 관련된 문법 요소들의 기능 연구
Untersuchung der funktionaler Grammatik in Bezug auf das objektive Ausdrucksmittel von Zeitungsartikel
독어교육 |
53 |
53 |
2012 |
독일어와문학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능숙도 및 인지양식에 따른 코퍼스 활용 영어 문법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Corpus-based Grammar Teaching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Cognitive Styles
영어영문학연구 |
53 |
1 |
2011 |
영어와문학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 텍스트 중심성 원리의 해석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f Communicative Perspectives in Grammar Education - Focused on Text-Based Principle in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 - 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을 활용하여
A study on grammar in the context-based negative expression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3 |
2012 |
언어학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rehension of texts by Grammar knowledge - Focusing on form ‘-dorok ha-’ and ‘-ge ha-’ in newspaper texts
국어교육연구 |
25 |
2010 |
국어교육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mprehension of texts by Grammar knowledge - Focusing on form ‘-dorok ha-’ and ‘-ge ha-’ in newspaper texts
국어교육연구 |
|
25 |
2010 |
국어교육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에 대한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를 대상으로-
A Study of an Integrated Model of Text and Grammar Based on the Genus - on th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어 한국어를 위한 문법 모형
Modeling for a Spoken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어 한국어를 위한 문법 모형
Modeling for a Spoken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탐구학습을 통한 담화문법 지도 방법
On a Method for Teaching Discourse-Grammar through inquiry study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아랍어 문법 교재 연구 -교재 개발 예시-
A Study of Arabic Grammar Text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1 |
1 |
2011 |
종교학
고대국어 문법 연구의 회고
A Survey of the Studies on Ancient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랍국가의 한국어 교육현황 -이집트, 요르단, 모르코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Egypt, Jordan and Morocco-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아랍국가의 한국어 교육현황 -이집트, 요르단, 모르코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Egypt, Jordan and Morocco-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Structuring Integrated Education for Speech Communication and Grammar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Structuring Integrated Education for Speech Communication and Grammar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탐구학습을 통한 담화문법 지도 방법
On a Method for Teaching Discourse-Grammar through inquiry study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고대국어 문법 연구의 회고
A Survey of the Studies on Ancient Korean Grammar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랍어 문법 교재 연구 -교재 개발 예시-
A Study of Arabic Grammar Text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1 |
1 |
2011 |
종교학
现代汉语词类活用的调查分析及汉语的规范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Wordclass Shift in Modern Chinese and Standardization of Chinese Language
중국어문논역총간 |
31 |
2012 |
중국어와문학
自立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助動詞に関する分析
An Independent Using of Japanese Auxiliary Verb
유라시아연구 |
8 |
2 |
2011 |
기타사회과학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Structuring Integrated Education for Speech Communication and Grammar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화법과 문법의 통합 교육 내용 구성
Structuring Integrated Education for Speech Communication and Grammar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InterdependentNature of Grammar and Vocabulary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1 |
2012 |
언어학
프랑스어 문법의 역사 : 지식의 대중화의 역사
Histoire de la grammaire du français : histoire de la vulgarisation du savoir
불어불문학연구 |
8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Workbook and Computer-Based Exercises for Perfect Aspect and Writing Practice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
13 |
3 |
2010 |
영어와문학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Workbook and Computer-Based Exercises for Perfect Aspect and Writing Practice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
13 |
3 |
2010 |
영어와문학
소통의 도구로서의 문법
The Grammar for the Tool of Communication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효율적인 문법 교육을 위한 항목 배열 연구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grammar items for efficient Korean grammar education
동남어문논집 |
1 |
32 |
2011 |
기타국어학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영문법 교재에 나타난 편견에 대한 연구
On the Biases in an English Grammar Book.
사회언어학 |
19 |
2 |
2011 |
언어학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InterdependentNature of Grammar and Vocabulary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9 |
1 |
2012 |
언어학
文言文의 作文上에 나타난 用字와 構文의 融通性 考察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using words and making sentences in writing classical Chinese
중국인문과학 |
48 |
2011 |
중국어와문학
효율적인 문법 교육을 위한 항목 배열 연구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grammar items for efficient Korean grammar education
동남어문논집 |
1 |
32 |
2011 |
기타국어학
소통의 도구로서의 문법
The Grammar for the Tool of Communication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의 비자의성
Non-arbitrariness of Grammar
현대영어영문학 |
54 |
1 |
2010 |
영어와문학
문법의 비자의성
Non-arbitrariness of Grammar
현대영어영문학 |
54 |
1 |
2010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