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

연구분야 : A090500 인문학 > 언어학 > 통사론(언어학)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3357

한자 : 單數
영어 : the singular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 [ 文法 ]

商周시기 인칭대명사 용법의 변이양상과 유형학적 의미

The Change in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in Shang-Zhou and its typological meaning

중국문학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商周시기 인칭대명사 용법의 변이양상과 유형학적 의미

The Change in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in Shang-Zhou and its typological meaning

중국문학 | 64 | | 2010 | 중국어와문학

신고지독어 강변화동사 직설법 현재 단수 2인칭과 3인칭의 어간모음 변천 연구

Eine Untersuchung über die morphologische Wandlung des Stammvokals der 2. und 3. Person im Singular des Indikativs Präsens bei den neuhochdeutschen starken Verben

독일언어문학 | 50 | 2010 | 독일어와문학

신고지독어 강변화동사 직설법 현재 단수 2인칭과 3인칭의 어간모음 변천 연구

Eine Untersuchung über die morphologische Wandlung des Stammvokals der 2. und 3. Person im Singular des Indikativs Präsens bei den neuhochdeutschen starken Verben

독일언어문학 | | 50 | 2010 | 독일어와문학

수관형사 ‘한’의 통시적 고찰

Diachronic Study of Numeral Pre-noun ‘han’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수관형사 ‘한’의 통시적 고찰

Diachronic Study of Numeral Pre-noun ‘han’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 - 분류 기준과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

Proper Noun and Common Noun - centered on classification and their concepts -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불어 명사의 단수·복수 선택 문제 - 한국인 학습자의 입장을 중심으로

Le problème du choix entre singulier et pluriel en français du côté des apprenants coréens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불어 명사의 단수·복수 선택 문제 - 한국인 학습자의 입장을 중심으로

Le problème du choix entre singulier et pluriel en français du côté des apprenants coréens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