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교육

연구분야 : A1103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384

STNet ID : 1000352

한자 : 文法敎育
영어 : grammar education
프랑스어 : enseignement de la grammaire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언어 교육 () [ 言語敎育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통합적 문법 교육 () [ 統合的文法敎育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외국어 교육 () [ 外國語敎育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국어 생활사 교육 [ 國語 生活史 敎育 ]

hasKind (종류)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텍스트중심 문법 교육 () [ --中心文法敎育 ]

hasKind (종류)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문법 교육과정 () [ 文法敎育科程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언어적 맥락 [ 言語的 脈絡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 [ 文法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오류 양상 () [ 誤謬樣相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의사소통 맥락 [ 意思疏通 脈絡 ]

RT (관련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한국어 교재 분석 () [ 韓國語教材分析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교육문법 [ 敎育文法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언어 능력 () [ 言語能力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문법 지식 [ 文法知識 ]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실천 과제

Academic identity and practic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실천 과제

Academic identity and practic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예비초등교사용 TEE 인증 평가 개발

언어학연구 | 16 | 2 | 2011 | 언어학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The Status of Discourse as Representamen of Educational contents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The Status of Discourse as Representamen of Educational contents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외국어교육의 구조적 기반으로서의 목표어의 언어 체계

Linguistic systems of target language as organizational foundations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어교육의 구조적 기반으로서의 목표어의 언어 체계

Linguistic systems of target language as organizational foundations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석 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으)ㄴ/는 법이다’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eaching Korean grammar focusing on interpretation -focusing on ‘-(으)ㄴ/는 법이다’-

인문학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해석 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으)ㄴ/는 법이다’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eaching Korean grammar focusing on interpretation -focusing on ‘-(으)ㄴ/는 법이다’-

인문학연구 | | 18 | 2010 | 기타인문학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의 변화양상 분석

Analyse de l'évolution des manuels de français pour les lycéens coréens

프랑스어문교육 | 38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문법 교육 과정의 개선 방향

Implications of Cognitive Linguistic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f Grammar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말뭉치를 활용한 국어 높임법 교육 연구

A Study of Korean Honorification Teaching Based on Corpus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말뭉치를 활용한 국어 높임법 교육 연구

A Study of Korean Honorification Teaching Based on Corpus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외국어교육의 구조적 기반으로서의 목표어의 언어 체계

Linguistic systems of target language as organizational foundations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어교육의 구조적 기반으로서의 목표어의 언어 체계

Linguistic systems of target language as organizational foundations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문법 교육 과정의 개선 방향

Implications of Cognitive Linguistic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f Grammar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말뭉치를 활용한 국어 높임법 교육 연구

A Study of Korean Honorification Teaching Based on Corpus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말뭉치를 활용한 국어 높임법 교육 연구

A Study of Korean Honorification Teaching Based on Corpus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석 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으)ㄴ/는 법이다’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eaching Korean grammar focusing on interpretation -focusing on ‘-(으)ㄴ/는 법이다’-

인문학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해석 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으)ㄴ/는 법이다’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eaching Korean grammar focusing on interpretation -focusing on ‘-(으)ㄴ/는 법이다’-

인문학연구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텍스트성 발달과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 - 초등학교 5학년 설명문 쓰기를 중심으로 -

Correlation of Textuality with Writing Ability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텍스트성 발달과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 - 초등학교 5학년 설명문 쓰기를 중심으로 -

Correlation of Textuality with Writing Ability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任務型教學法在初級對外漢語 “了”、“著”、“過”教學的應用探索

중국어문학논집 | 70 | 2011 | 중국어와문학

새로운 중국어평가방식(新HSK)도입에 따른 문법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 新HSK 필기평가(5급)을 중심으로

『浅谈“新HSK”与对外汉语语法教学之间的关系』

중국과 중국학 | 17 | 2012 | 지역학일반

실제 언어 생활 중심 문법 탐구 학습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교사교육연구 | 49 | 1 | 2010 | 교사교육

실제 언어 생활 중심 문법 탐구 학습

Inquiry Study based on Real-life Language

교사교육연구 | 49 | 1 | 2010 | 교사교육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법 영역 내용 분석

A Analysis Study on Grammar Area of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교육 문법의 목적과 성격 연구

On Framing the pedagogical grammar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교육 문법의 목적과 성격 연구

On Framing the pedagogical grammar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품사 통용을 이용한 국어 품사 교육 방안

언어학 | 19 | 3 | 2011 | 언어학

An Analysis of Semantic Knowledge of L2 Adult Learners of English Concerning Implicative/ Non-implicative Verbs

언어학 | 20 | 2 | 2012 | 언어학

생태언어학의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 - 2009 교육과정 문법 과목의 내용 재구성 방안 모색 -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of Ecolinguistics -For contents reconstruction of 2009 Grammar Curriculum-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1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문장 쓰기 지도 내용

A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Sentence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문장 쓰기 지도 내용

A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Sentence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생태언어학의 교육과정 재개념화 방향 - 2009 교육과정 문법 과목의 내용 재구성 방안 모색 -

Curriculum Reconceptualization of Ecolinguistics -For contents reconstruction of 2009 Grammar Curriculum-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1 | 2011 | 교육학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초등학교 문장 쓰기 지도 내용

A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Sentence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문장 쓰기 지도 내용

A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Sentence Writing in Elementary School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법 영역 내용 분석

A Analysis Study on Grammar Area of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탐구학습을 통한 담화문법 지도 방법

On a Method for Teaching Discourse-Grammar through inquiry study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국어교육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Sixty Yea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Study on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Textbook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문과 문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in Research on Sino-Korean and Grammar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법 교육의 현실과 지향

The Present State and Direction of Grammar Education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시간 관련 범주(시제, 상, 양태)의 문법 교육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Time-related Category(tense, aspect, modality)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Study on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Textbook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과제 기반 학습을 활용한 프랑스어 문법교육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française par les tâches

프랑스어문교육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과제 기반 학습을 활용한 프랑스어 문법교육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française par les tâches

프랑스어문교육 |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Principles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Principles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국어 문법교육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Korean Grammar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The Significance and the Direction of Integrated Grammar Teaching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The Significance and the Direction of Integrated Grammar Teaching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외래어 표기 규범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Norm of Loan Word Repres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A Study on Storytelling Models for Grammar Education Contents as Edutainment Contents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n facilitator of grammar learning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Focus on Form: A Holistic Review of EFL Pedagogy

현대영어교육 | 13 | 3 | 2012 | 영어교육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44 | 2010 | 언어학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 44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ology of Methods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Concentrated on Passive Expressions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한문과 문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in Research on Sino-Korean and Grammar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 항목 제시 방안 연구 - 보조 용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ggesting hypothetical model of grammar items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 항목 제시 방안 연구 - 보조 용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ggesting hypothetical model of grammar items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 항목 제시 방안 연구 - 보조 용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ggesting hypothetical model of grammar items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법 항목 제시 방안 연구 - 보조 용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ggesting hypothetical model of grammar items in Korean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Principles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Principles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문법 교육의 현실과 지향

The Present State and Direction of Grammar Education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A Systematization for teaching Korean Orthography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A Systematization for teaching Korean Orthography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centering around ‘principle’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44 | 2010 | 언어학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 44 | 2010 | 언어학

Focus on Form: A Holistic Review of EFL Pedagogy

현대영어교육 | 13 | 3 | 2012 | 영어교육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수동구문 제시방법 분석에 근거한 문법 지도의 문제

Issues of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ays of Presenting “passive construction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영어교과교육 | 9 | 2 | 2010 | 영어교육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수동구문 제시방법 분석에 근거한 문법 지도의 문제

Issues of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ays of Presenting “passive construction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영어교과교육 | 9 | 2 | 2010 | 영어교육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Parts-of-Speech Unit Utilizing Stories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n facilitator of grammar learning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The Significance and the Direction of Integrated Grammar Teaching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The Significance and the Direction of Integrated Grammar Teaching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외래어 표기 규범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Norm of Loan Word Repres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ology of Methods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Concentrated on Passive Expressions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A Study on Storytelling Models for Grammar Education Contents as Edutainment Contents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 문법교육의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Korean Grammar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울 K고 국어과 정기 고사에서의 문법 평가 실태 조사 연구

"A Investigation about the realities of Grammar Assessment in "K" High School"

언어와 정보 사회 | 12 | 2010 | 기타언어학

서울 K고 국어과 정기 고사에서의 문법 평가 실태 조사 연구

"A Investigation about the realities of Grammar Assessment in "K" High School"

언어와 정보 사회 | 12 | | 2010 | 기타언어학

문장 교육과 읽기 교육의 통합 방안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Studies on Methods for Integrating Sentence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Middle School Curriculum in the 2011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과 쓰기의 통합적 양상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Integrated Aspects of Grammar and Writing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문법과 쓰기의 통합적 양상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Integrated Aspects of Grammar and Writing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문법 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

The Retrospective Study of Teaching Grammar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교육의 현실에 대한 성찰

The Retrospective Study of Teaching Grammar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문법’ 영역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Grammar Domain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실행 방안 -‘음운과 음운 체계’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Methods of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Teaching & Learning of the Phoneme and Phoneme Syst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실행 방안 -‘음운과 음운 체계’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Methods of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Teaching & Learning of the Phoneme and Phoneme Syst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문법 교육과 어휘 교육

Grammar education and vocabulary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법과 쓰기의 통합적 양상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Integrated Aspects of Grammar and Writing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문법과 쓰기의 통합적 양상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Integrated Aspects of Grammar and Writing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웹블렌디드 토론에 기반한 문법교수법의 원리와 방법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Principles and methods of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web-blended discussion model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웹블렌디드 토론에 기반한 문법교수법의 원리와 방법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Principles and methods of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web-blended discussion model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웹블렌디드 토론에 기반한 문법교수법의 원리와 방법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Principles and methods of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web-blended discussion model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웹블렌디드 토론에 기반한 문법교수법의 원리와 방법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Principles and methods of grammar instruction based on web-blended discussion model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문법 영역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for the Field of Grammar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문법 영역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for the Field of Grammar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문법 교육에서 맥락의 수용 문제

Problem of the Accommodation of Contexts in the Grammar Education

한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법 영역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for the Field of Grammar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문법 영역 교육과정의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for the Field of Grammar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언간을 통한 국어생활사 교육 연구 -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Through Eonga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장 교육과 읽기 교육의 통합 방안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Studies on Methods for Integrating Sentence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Focused on Middle School Curriculum in the 2011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형태적 오류와 교육 방안―‘-(으)ㄹ 때/-었을 때’를 중심으로―

The Error of the Ending Prenoun Form and the Education Device

한글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형태적 오류와 교육 방안―‘-(으)ㄹ 때/-었을 때’를 중심으로―

The Error of the Ending Prenoun Form and the Education Device

한글 | | 28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통합적 문장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맥락과 텍스트 중심의 활동 교재 구안을 위하여

A Study on Teaching & Learning Methods in the Integrated Syntax Education - For making Activity Materials based on the Text and Context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시간 관련 범주(시제, 상, 양태)의 문법 교육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Time-related Category(tense, aspect, modality)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법 교육에서 맥락의 수용 문제

Problem of the Accommodation of Contexts in the Grammar Education

한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법’ 영역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Grammar Domain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실행 방안 -‘음운과 음운 체계’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Methods of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Teaching & Learning of the Phoneme and Phoneme Syst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실행 방안 -‘음운과 음운 체계’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Methods of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Teaching & Learning of the Phoneme and Phoneme Syst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문법 교육과 어휘 교육

Grammar education and vocabulary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간을 통한 국어생활사 교육 연구 -교재화 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Through Eonga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통합적 문장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맥락과 텍스트 중심의 활동 교재 구안을 위하여

A Study on Teaching & Learning Methods in the Integrated Syntax Education - For making Activity Materials based on the Text and Context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