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연구분야 : B121215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한국어교육학

클래스 : 기준/규칙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466

STNet ID : 1003966

한자 : 韓國語文法
영어 : Korean grammar

e02-03 기준/규칙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의사소통 () [ 意思疏通 ]

S:동의

UF (비우선어)

영문 약자

 

KG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교육문법 [ 敎育文法 ]

isKindOf (상위 유형)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 [ 文法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어 문법 교육 () [ 韓國語文法敎育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용어 () [ 文法用語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중국인 학습자 () [ 中國人學習者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어체 [ 口語體 ]

한국어 문법 교수법으로서 상호 보완식 접근법의 재해석

The reinterpretation of reciprocal approach as Korean grammar teaching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Characters and content systems of SG and KGF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Characters and content systems of SG and KGF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의 교재 용어 분석(Ⅰ) - 품사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Grammar Textbooks in terms of Chinese(Ⅰ) - Focusing on parts of speech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