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분야 : B121215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한국어교육학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123

STNet ID : 1004467

한자 : 韓國語文法敎育
기타 : 국어 문법 교육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UF (비우선어)

 

 

KGF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국어 문법 [ 韓國語文法 ]

RT (관련어)

 

e03-02 각국어 각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 [ 外國語--韓國語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어 교육 () [ 韓國語敎育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주어’와 ‘주체’ - 변별을 위한 용어 정립 -

‘Subject’ and ‘Agent’ in the grammatical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 Concerning establishment of Terminology for distinction -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자국어 문법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 비교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of Korean as a Vernacular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자국어 문법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성격 비교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of Korean as a Vernacular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읽기에서의 문법 교육

Grammar Education in Korean Reading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읽기에서의 문법 교육

Grammar Education in Korean Reading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문법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Korean grammar ‘-ge hada’ and ‘-dorok hada’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 탐구

Study on the Principle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A Research on the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Use of Grammatical Terminology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A Research on the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Use of Grammatical Terminology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