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

연구분야 :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1

STNet ID : 1000041

한자 : 韓國語敎育
영어 : Korean Education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02 각국어 각국어

한국어 () [ 韓國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언어 교육 () [ 言語敎育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어 문화교육 () [ 韓國語文化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어 발음 교육 () [ 韓國語發音敎育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적 연어 () [ 文法的連語 ]

RT (관련어)

 

e03-02 각국어 각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 [ 外國語--韓國語 ]

RT (관련어)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학문목적 한국어 () [ 學問目的韓國語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어 문법 교육 () [ 韓國語文法敎育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변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in Reading Teaching shown on Elementary Text Books of the Korean Language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study result of 'cognitive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 - 상하위어를 중심으로 -

Vocabulary selection and expressive effect - Centering on hyponymy -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 - 상하위어를 중심으로 -

Vocabulary selection and expressive effect - Centering on hyponymy -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를 통한 고려인 정체성 교육

Education in Identity for Koreans through the Myth of Dangun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를 통한 고려인 정체성 교육

Education in Identity for Koreans through the Myth of Dangun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를 통한 고려인 정체성 교육

Education in Identity for Koreans through the Myth of Dangun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를 통한 고려인 정체성 교육

Education in Identity for Koreans through the Myth of Dangun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향후 전망

The Achievements and Further Prospects of Text Linguistics in Korea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향후 전망

The Achievements and Further Prospects of Text Linguistics in Korea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cient Poetic So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inking and Experience-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가요에 대한 국어교육적 탐색 -사고와 경험의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cient Poetic So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inking and Experience-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향후 전망

The Achievements and Further Prospects of Text Linguistics in Korea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한국에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 성과 및향후 전망

The Achievements and Further Prospects of Text Linguistics in Korea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동사 ‘걸다’의 인지의미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Verb “Geol-Da”’s Cognitive Meaning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사 ‘걸다’의 인지의미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Verb “Geol-Da”’s Cognitive Meaning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Critical Consideration of Methodology in Description of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Centered on Description Problems in Modern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Critical Consideration of Methodology in Description of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 Centered on Description Problems in Modern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불규칙 활용 교육 방법 -제주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ays to teach irregular conjugation for Immigrants of Marriage women -On the focus of Jeju dialect-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와 어미 오류 양상 - 중국인 유학생의 작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Errors in Korean Learners’ Postposition and Ending Use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檀君의 우리 사상으로 굳히기와 효교육문화의 전개

Consolidation of Korean Thought by Dangun and Introduction of Culture of Filial Piety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불규칙 활용 교육 방법 -제주 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ays to teach irregular conjugation for Immigrants of Marriage women -On the focus of Jeju dialect-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廣告에 나타난 隱喩表現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活用方案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Using Metaphor in TV Commercials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 사용 원리에 입각한 한국어교육의 과제

The Korean Education Problem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Language Use

언어학 연구 | 21 | 2011 | 기타언어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 사용 원리에 입각한 한국어교육의 과제

The Korean Education Problem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Language Use

언어학 연구 | 21 | 2011 | 기타언어학

고전시가의 패러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의 실제와 과제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asks of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arody of Classical Poetry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형표현 찾기: 잦은 명사 결합을 중심으로

응용언어학 | 27 | 2 | 2011 | 언어학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1)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aboration of Text Complexity for the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1) -Focused on Critical Perspectives about Text Complexity Researche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의 텍스트적 특징에 대한 통시적 연구 - 1~7차 중학교 『국어』 1-1학기 1단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ic Change of 『Korean』Centering around Text’s Characteristic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고유어와 한자어 비율에 따른 인식과 의미 분석

A Study on the Meaning Based on the Ratio of Pure-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Occurring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廣告에 나타난 隱喩表現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活用方案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Using Metaphor in TV Commercials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대중문화의 위상

The status of Mass-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국어과 어휘 교육 내용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Vocabulary Educative Contents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화 기반 초급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f Syllabus Design in Teaching Elements and the Organisation of Contents for Online Cultural-based Beginn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어휘 교육의 목표와 의의

A Study on the Object and Significance of Lexical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비평, 그 가능성과 필요성

Linguistic Criticism, its Possibility and Necessity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의 실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의 실제

A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 능력과 문법 평가 문항 개발의 방향

A Study on Grammatical Competence and the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신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ologies about Neologis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SVO 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과 다양성 연구

Syntactic complexity and diversity of clauses in writings from Chinese, English and Spanish learners of Korean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SVO 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과 다양성 연구

Syntactic complexity and diversity of clauses in writings from Chinese, English and Spanish learners of Korean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간제한을 활용한 단계적 말하기 구성방안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The gradable speaking consist method using time limit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고유어와 한자어 비율에 따른 인식과 의미 분석

A Study on the Meaning Based on the Ratio of Pure-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Occurring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신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ologies about Neologis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몽골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그 발전방향 제언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and proposal of enhancement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Discourse Functions of ‘-eun/neun + geos-ida’.

한국어교육 | 22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도구어 조사

Study on Academic Vocabulary to enhance Korean language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도구어 조사

Study on Academic Vocabulary to enhance Korean language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소통, 치유, 공존의 국어교육 -노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Korean Education for Communication, Treatment, and Coexistence -Centering on Literacy of Old People-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통, 치유, 공존의 국어교육 -노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Korean Education for Communication, Treatment, and Coexistence -Centering on Literacy of Old People-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대중문화의 위상

The status of Mass-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국어교육을 위한 근대국어 시대구분론

Theory of Establishing the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Life History

사회언어학 | 19 | 2 | 2011 | 언어학

의미망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An Application of Semantic Network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재와 설문조사에 나타난 호칭어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ddress terms revealed in Korean textbooks and questionnaires for married migrant women

사회언어학 | 19 | 1 | 2011 | 언어학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도구어 조사

Study on Academic Vocabulary to enhance Korean language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도구어 조사

Study on Academic Vocabulary to enhance Korean language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문화 기반 초급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f Syllabus Design in Teaching Elements and the Organisation of Contents for Online Cultural-based Beginn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표현 문형 ‘-은/는 것이다’의 담화 기능

Discourse Functions of ‘-eun/neun + geos-ida’.

한국어교육 | 22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Uri’ and its Chinese equivalent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Uri’ and its Chinese equivalent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 인식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학습

Project-based Learning in Korean for Enhancing Cultural Aware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 인식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학습

Project-based Learning in Korean for Enhancing Cultural Aware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어려움 연구 - 교수 학습 지도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eaching plan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어려움 연구 - 교수 학습 지도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eaching plan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 3쌍의 동사 유의어를 대상으로

A study on teaching of Korean Synonyms for Korean learner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방송언어 활용사 - 거시적 관점의 서술을 중심으로 -

An History of the Use of Broadcasting Language in the Educational Course of Korean - Especially of the Description from the Broad View-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문화 인식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학습

Project-based Learning in Korean for Enhancing Cultural Aware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 인식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학습

Project-based Learning in Korean for Enhancing Cultural Aware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전개 방향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for Foreign Learners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전개 방향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for Foreign Learners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어려움 연구 - 교수 학습 지도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eaching plan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어려움 연구 - 교수 학습 지도안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eaching plan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훈민정음≫ 사진 자료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critical study on the photo materials of Hunminjeongeum(focus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어권 학습자의 과거 시제 사용 오류 분석 ― "-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nese Learners' Errors in Using Past Tense On "-ass-"

문법 교육 | 13 | 2010 | 국어교육

중국어권 학습자의 과거 시제 사용 오류 분석 ― "-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nese Learners' Errors in Using Past Tense On "-ass-"

문법 교육 | 13 | | 2010 | 국어교육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敎育에 있어서의 漢字 敎育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의미망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An Application of Semantic Network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 항목 연구

A study for 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r Korean education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 항목 연구

A study for 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r Korean education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글 교육의 의미

The meaning of How to Teach the Korean Alphabets for Beginners

교양교육연구 | 4 | 1 | 2010 | 학제간연구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글 교육의 의미

The meaning of How to Teach the Korean Alphabets for Beginners

교양교육연구 | 4 | 1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Uri’ and its Chinese equivalent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Uri’ and its Chinese equivalent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 교육의 이론과 실제

A Study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exical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브라질 한인교포사회의 실태와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A Condição atual da Sociedade dos Descendentes Coreanos do Brasil e a Necessidade da Educação da Língua Coreana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브라질 한인교포사회의 실태와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A Condição atual da Sociedade dos Descendentes Coreanos do Brasil e a Necessidade da Educação da Língua Coreana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반성적 성찰-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

Reflective Thinking about Curriculum and Textbooks- with Korean language as the center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에 근거한 한국어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ies of Teaching-Learning of Korean Education on the base of sociocultural Theory from Vygotsky approach

교육종합연구 | 10 | 3 | 2012 | 교육학

보조사 {은/는}과 주격조사 {이/가}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한국어 고급 단계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Study for Teaching Method of particle {eun/nun} or {i/ka} in Korean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병렬말뭉치의 대조 주석 모형 개발 방안

On the development of contrastive annotations for a Korean Multilingual Parallel Corpus

언어와 정보 사회 | 14 | 2011 | 기타언어학

유대교육과 기독교교육의 관계성: 유대교육이 기독교교육을 대신할 수 있는가?

The Relationship between Jewish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Can Jewish Education be a Substitute for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정보 | 25 | 2010 | 기독교신학

유대교육과 기독교교육의 관계성: 유대교육이 기독교교육을 대신할 수 있는가?

The Relationship between Jewish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Can Jewish Education be a Substitute for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정보 | | 25 | 2010 | 기독교신학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 3쌍의 동사 유의어를 대상으로

A study on teaching of Korean Synonyms for Korean learner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전개 방향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for Foreign Learners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전개 방향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for Foreign Learners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

해외 대학의 비모어 화자 대학(원)생을 위한 언어 지원 사례 연구 -프랑스 파리 3대학, 7대학과 영국 서리 대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language support programmes for non-native foreig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Paris 3, 7, and the University of Surrey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터민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거절하는 말하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ech act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s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敎育에 있어서의 漢字 敎育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과 토론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사적 고찰

A Diachronic Investigation on the Reflected Aspect of Debate Curriculum in a High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몽골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그 발전방향 제언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and proposal of enhancement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해외 대학의 비모어 화자 대학(원)생을 위한 언어 지원 사례 연구 -프랑스 파리 3대학, 7대학과 영국 서리 대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language support programmes for non-native foreig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Paris 3, 7, and the University of Surrey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의 독일어 대응을 중심으로

Grammatikunterricht für Koreanisch-Lernende in deutschsprachigen Ländern - Die koreanischen Partikel ‘-이/가’, ‘-은/는’ und ihre Entsprechungen im Deutschen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와 보조사 ‘-은/는’의 독일어 대응을 중심으로

Grammatikunterricht für Koreanisch-Lernende in deutschsprachigen Ländern - Die koreanischen Partikel ‘-이/가’, ‘-은/는’ und ihre Entsprechungen im Deutschen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국내 재외동포 모국수학과정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A Real State of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Staying in the Country about the Korean Language in the Course of Learning in their Fatherland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假面劇敎育의 現況과 國語敎育的 設計 - 初․中等學生을 對象으로 한 경우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Mask Dram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국어 교사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문법범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Using Grammatical Categories

사회언어학 | 19 | 2 | 2011 | 언어학

토론형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 ‘4대강 사업’을 논제로 -

A Discussion Type Korean Language Lesson Plan: For the Theme of “The Four Rivers Project”

언어과학연구 | 53 | 2010 | 언어학

토론형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 ‘4대강 사업’을 논제로 -

A Discussion Type Korean Language Lesson Plan: For the Theme of “The Four Rivers Project”

언어과학연구 | | 53 | 2010 | 언어학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olysemy Verb ‘japta’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olysemy Verb ‘japta’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s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s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문법술어 대역 통일 방안 연구

韓·中語法術語對譯統一方案的硏究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한·중 문법술어 대역 통일 방안 연구

韓·中語法術語對譯統一方案的硏究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독립국가연합(CIS)지역 고려인 후속세대를 위한 모국수학과정 교육프로그램 개선 방향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A Study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다문확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3 | 2010 | 경영학

A Study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다문확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3 | 2010 | 경영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

In Search of a Supporting Plan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

In Search of a Supporting Plan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요리 한국어 교재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ooking and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요리 한국어 교재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ooking and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The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Analysis for Teaching Korean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The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Analysis for Teaching Korean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nalysis of analysis of ‘Twitter’ and ‘me2DAY’-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nalysis of analysis of ‘Twitter’ and ‘me2DAY’-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s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s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갈래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개신어문연구 | 31 | 2010 | 현대시(국문학)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갈래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개신어문연구 | | 31 | 2010 | 현대시(국문학)

韓國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 分析

A Study of the reality of Korea’s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nd the Demands for It

동방한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韓國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 分析

A Study of the reality of Korea’s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nd the Demands for It

동방한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토론형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 ‘4대강 사업’을 논제로 -

A Discussion Type Korean Language Lesson Plan: For the Theme of “The Four Rivers Project”

언어과학연구 | 53 | 2010 | 언어학

토론형 한국어 수업 구성 방안 - ‘4대강 사업’을 논제로 -

A Discussion Type Korean Language Lesson Plan: For the Theme of “The Four Rivers Project”

언어과학연구 | | 53 | 2010 | 언어학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Development writing assessment of ecological viewpoint in evaluation of 2007 revision curriculum language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생태학적 관점의 쓰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Development writing assessment of ecological viewpoint in evaluation of 2007 revision curriculum language educ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The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Analysis for Teaching Korean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The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Analysis for Teaching Korean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치료적 접근

The Process of Writing therapy for women marriage immigrant under Korean Education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치료적 접근

The Process of Writing therapy for women marriage immigrant under Korean Education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A Study on Trend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Research and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in KSL Teaching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한·중 문법술어 대역 통일 방안 연구

韓·中語法術語對譯統一方案的硏究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한·중 문법술어 대역 통일 방안 연구

韓·中語法術語對譯統一方案的硏究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독립국가연합(CIS)지역 고려인 후속세대를 위한 모국수학과정 교육프로그램 개선 방향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1, 2차 교육과정기 국어교육계의 극 수용 연구

A Study on the Reception of Dram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During the Period of 1st, 2nd Curriculums

문학교육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olysemy Verb ‘japta’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인지언어학과 TPR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PR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olysemy Verb ‘japta’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요리 한국어 교재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ooking and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요리 한국어 교재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ooking and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

In Search of a Supporting Plan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

In Search of a Supporting Plan for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선교지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status quo and the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missionary objectives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교지 선교 목적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status quo and the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missionary objectives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요구조사

A Study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needs of the immigrant women in Korea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문학지문을 활용한 다문화 중학생의 한국어교육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ext -Focusing on multicultural students-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Meaning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s: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Meaning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s: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 교육과 한국어 정보 처리 -한국어 정보 처리의 발전 과정과 활용 방안-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processing

시학과 언어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Mongolia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Mongolia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中國韓國語敎育的現況与課題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中國韓國語敎育的現況与課題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Story Expression.

한국어교육 | 22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터넷 언어의 국어교육 내용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et Language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터넷 언어의 국어교육 내용 연구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et Language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Pres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Studies on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다문화가정의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적응 실태조사: 광주, 전라도지역의 러시아 및 CIS국가 출신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 34 | 1 | 2010 | 사회과학

다문화가정의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적응 실태조사: 광주, 전라도지역의 러시아 및 CIS국가 출신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중소연구 | 34 | 1 | 2010 | 사회과학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에 대하여

中国韩国语教育实践中的文学教育问题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에 대하여

中国韩国语教育实践中的文学教育问题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영상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를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Instruction Using Video Materials - Focused on the movie, My Wife Got Married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상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를 중심으로 -

Korean Language Instruction Using Video Materials - Focused on the movie, My Wife Got Married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보급 현황과 발전 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 | 1 | 2012 | 국어교육

방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표현 비교 - 시제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The Comparison the Dialect Expressions of Grammar with Standard Language for Education of Korean for Foreign Learners

인문연구 | 63 | 2011 | 기타인문학

우즈베키스탄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현황

Обучение корейскому языку в Узбекистане: история и текущее положение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이야기 표현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교육 방안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Story Expression.

한국어교육 | 22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장애음 교육 - 중국인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aching of Korean Obstruents to Foreign Beginners Based upon Three Different Language Teaching Methods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Mongolia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몽골 대학의 한국문학교육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at Universities in Mongolia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KNL text books and KFL text books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KNL text books and KFL text books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창작활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f Korean Education with Creative Acticity

한국문예창작 | 10 | 3 | 2011 | 문학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Meaning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s: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Meaning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s: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중 언어 교수 요원 양성 과정생의 작문 결과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languag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based on the writings of the students doing a Bilingual Language Teaching Assistance Training course —

작문연구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중 언어 교수 요원 양성 과정생의 작문 결과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languag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based on the writings of the students doing a Bilingual Language Teaching Assistance Training course —

작문연구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中國韓國語敎育的現況与課題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中國韓國語敎育的現況与課題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초등학교 국어과를 중심으로-

Suggestions for a expression education for enhancing the academic proficiency of multicultural children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지난 10년, 한국어 교육의 변화와 과제

Previous Research and Issu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10 years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난 10년, 한국어 교육의 변화와 과제

Previous Research and Issu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10 years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학 활용 방안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민족연구 | 47 | 2011 | 기타사회과학

북미 지역 내 한국어 마을의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미국 콘코디아 언어 마을의 외국어 몰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merica: Immersion in the Korean Language Village

한국문화인류학 | 43 | 2 | 2010 | 역사학

북미 지역 내 한국어 마을의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미국 콘코디아 언어 마을의 외국어 몰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merica: Immersion in the Korean Language Village

한국문화인류학 | 43 | 2 | 2010 | 역사학

Проблемы языкового аспекта в русско-корейских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ьях: на основе анализа данных анкетирования по падежным окончаниям

A study on Korean Learning among Multicultural family using in Russian

슬라브硏究 | 26 | 1 | 2010 | 지역학

Проблемы языкового аспекта в русско-корейских мультикультурных семьях: на основе анализа данных анкетирования по падежным окончаниям

A study on Korean Learning among Multicultural family using in Russian

슬라브硏究 | 26 | 1 | 2010 | 지역학

일음절 부사의 의미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monosyllabic adverb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음절 부사의 의미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monosyllabic adverb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 인식

The Perception of Students tak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rse about a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Pres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Studies on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요구조사

A Study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needs of the immigrant women in Korea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다문화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학 활용 방안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민족연구 | 47 | 2011 | 기타사회과학

지식 기반 사회의 핵심능력과 국어교육

A Study on Key Competencies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Korea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지식 기반 사회의 핵심능력과 국어교육

A Study on Key Competencies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Korea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문장 표현을 통한 한국어 문법 요소의 교육 방법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Grammatical factors using the interrogative sentence expression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건재 정인승(1897~1986)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Jeong Inseung’s (1897~1986) life and achievements as a Korean Linguist and Educator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건재 정인승(1897~1986)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Jeong Inseung’s (1897~1986) life and achievements as a Korean Linguist and Educator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문을 활용한 다문화 중학생의 한국어교육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ext -Focusing on multicultural students-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화법교육의 이론과 실제 - 이상(理想)과 현실(現實)

Problems and Solutions in Korean Languag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내용 요소 탐색 : 학교체제 운영을 중심으로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e family students : Focused on management of school system Oh, Eun-SoonㆍKwon, Jae-Ki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ㆍKorea University

청소년학연구 | 17 | 12 | 2010 | 기타사회과학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내용 요소 탐색 : 학교체제 운영을 중심으로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e family students : Focused on management of school system Oh, Eun-SoonㆍKwon, Jae-Ki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ㆍKorea University

청소년학연구 | 17 | 12 | 2010 | 기타사회과학

일음절 부사의 의미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monosyllabic adverb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음절 부사의 의미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monosyllabic adverb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장애음 교육 - 중국인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aching of Korean Obstruents to Foreign Beginners Based upon Three Different Language Teaching Methods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보급 현황과 발전 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 | 1 | 2012 | 국어교육

지난 10년, 한국어 교육의 변화와 과제

Previous Research and Issu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10 years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난 10년, 한국어 교육의 변화와 과제

Previous Research and Issu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10 years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육, 도약을 위한 성찰-‘삶/생활을 위한’ 문학교육을 중심으로-

Literary Education, Reflection for the Development-On the Centered Literary Education for the “life/lives”-

문학교육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화용론과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에서의 화용 연구 동향 및 전망 -

Pragmatic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rend and prospect of Pragmatics stud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어문론집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용론과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에서의 화용 연구 동향 및 전망 -

Pragmatic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rend and prospect of Pragmatics stud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어문론집 | 43 |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방향

Direction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인지언어학에 기반을 둔 비유 교육 내용 연구

A study on contents of figure based on cognitive linguists

한국어 의미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언어 교육과 한국어 정보 처리 -한국어 정보 처리의 발전 과정과 활용 방안-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processing

시학과 언어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국어교육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Sixty Yea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 인식

The Perception of Students tak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rse about a Native Language Education Program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중 언어 교수 요원 양성 과정생의 작문 결과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languag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based on the writings of the students doing a Bilingual Language Teaching Assistance Training course —

작문연구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중 언어 교수 요원 양성 과정생의 작문 결과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languag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based on the writings of the students doing a Bilingual Language Teaching Assistance Training course —

작문연구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희곡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변화와 교사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Change of Recogni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cher's Satisfaction for Drama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 58 | 3 | 2010 | 교육학

희곡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변화와 교사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eacher's Change of Recogni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acher's Satisfaction for Drama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 58 | 3 | 2010 | 교육학

북미 지역 내 한국어 마을의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미국 콘코디아 언어 마을의 외국어 몰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merica: Immersion in the Korean Language Village

한국문화인류학 | 43 | 2 | 2010 | 역사학

북미 지역 내 한국어 마을의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미국 콘코디아 언어 마을의 외국어 몰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America: Immersion in the Korean Language Village

한국문화인류학 | 43 | 2 | 2010 | 역사학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On the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범주강삼각주지역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Korean Education in Pan-Pearl River Delta.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읽기에서의 어휘 시소러스(thesaurus)의 응용

Adapting Thesauruses on Reading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외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미국의 한글학교·한국학교·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Historical Analysis on the Korean Education of Oversea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United States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중국 학생을 위한 한자어 음가 지도 방안

The Pedagogical Model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 Instruction for Chinese Learners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과 대학 유학생 유치 전략의 미래

The future of strategy attracting foreign students in abroad

언어와 정보 사회 | 14 | 2011 | 기타언어학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n the recent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rammar Assessment Theory in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연구 -‘편지 쓰기’의 초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연구 -‘편지 쓰기’의 초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국어과 내용교수지식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for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시범 보이기’에서 나타나는 문제 양상

Problems Shown in ‘Demonstrations’ by Pre-Teachers of Korean Subject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과의 범교과적 위상

A study on the status across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과의 범교과적 위상

A study on the status across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의 독서활동 평가방법과 입학사정관제 연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Evaluation of Reading Activity in Korean Education an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교육연구 | 52 | 2011 | 교과교육학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The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Poetry Teaching throug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Poetry Teaching throug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質問 類型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影響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質問 類型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影響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Korean Textbook selec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4 | 3 | 2011 | 교육학

재외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미국의 한글학교·한국학교·한국교육원을 중심으로-

Historical Analysis on the Korean Education of Oversea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United States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Categorical Distinctions in SLA: Evidence from Inflectional Morphology in Korean

제2언어에서의 품사습득: 한국어의 굴절형태소의 증거

외국어교육연구 | 25 | 2 | 2011 | 외국어교육학

매체에 의한 어휘의미의 변용과 국어교육적 수용방안

A Study on the Word-Meaning Chang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and Acceptance way of Korean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체에 의한 어휘의미의 변용과 국어교육적 수용방안

A Study on the Word-Meaning Chang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and Acceptance way of Korean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A Study on the Colloquial Final Ending '-잖아(요)'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 연구 - 사회 호칭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ducation of Korean Address Term for Chinese Learners - Focusing on Society for the Address Term of Relatives

한국언어문화학 | 8 | 2 | 2011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준말 종결어미에 대하여 - 종결어미와 종결어미의 통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hortened Conclusive-Ending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Compound Forms of Double Conclusive-Endings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A Study on the Important Values of Contemporary Korean Human Relations in TV Commercials

광고에 나타난 한국인의 인간관계의 중점 가치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문형 교육 방안

A teaching proposal of expressions including dependent nou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외국어교육연구 | 25 | 1 | 2011 | 외국어교육학

다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제재 선정 원리 탐색

A Study on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다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제재 선정 원리 탐색

A Study on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에서 보조사 ‘나’의 교육 방안

A Study on Setting up the Educational Information of Auxiliary Particle ‘N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적합성 판단과 기준 - 한국어 연수생의 문학작품 수업을 바탕으로 -

Korean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and standards - Korean literature classes on the basis of trainees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A study of teaching method of Adnominal Ending Forms for Korean learners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A study of teaching method of Adnominal Ending Forms for Korean learners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간투사 연구

A Study of Interjections in Elementary Speaking Korean Textbooks

인문연구 | 65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육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Adopting SMART Learning for Korean as Foreign and Second Languag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Textbook Analysis on a Valuation Basis of TOPIK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원격대학의 실용한국어 동영상 강의 개발 방안

Developing an online pract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course for a cyber university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예 텍스트 활용 방안

A Study of Using Literary Texts in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A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Poland

폴란드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합성동사의 선정과 배열 -동사 결합형 합성동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ng Compound Verbs and Arranging them in Learning Sta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Verb Base+(Connective Ending+)Verb Base'-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공계 전공 예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utur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언어연구 | 27 | 2 | 2010 | 언어학

이공계 전공 예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utur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언어연구 | 27 | 2 | 2010 | 언어학

한국어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과 모험 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isk-taking on the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learners

이중언어학 | 45 | 2011 | 언어학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44 | 2010 | 언어학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 44 | 2010 | 언어학

현대소설과 외국인을 위한 문학교육

Contemporary Fictions an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시학과 언어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소설과 외국인을 위한 문학교육

Contemporary Fictions an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시학과 언어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문법 교육 내용 제시 방법 유형화에 대한 고찰-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ology of Methods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Concentrated on Passive Expressions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과 억양 연구 - 요청/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speech act performances of request/refusal

언어학 | 62 | 2012 | 언어학

의미 확립 단계를 이용한 한국어 다의어 교육 방안

A Method of Teaching Korean Polysemy for Foreigner with Divided Step of Meaning

언어학 연구 | 22 | 2012 | 기타언어학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의 현황과 실제 ― 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universities : Focus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 정부 부처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개선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 With Focus on the Ro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실 -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한국학연구 | 41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A Study on the Colloquial Final Ending '-잖아(요)'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외래어 교육의 위상

Phase of foreig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별 스토리텔링 수행 능력에 관한 소고

Understanding of Korean Learners' Storytelling Performance Abilities according to Tasks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A study on the aspects of American learners’ Korean interlanguage development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A Study on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 and the scientific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 연구: 한국어와 태국어의 대조 분석에 기반하여

A study on the type of errors produced by Thai learners of Korean: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Thai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1 | 2011 | 언어학

여성결혼이민자의 화행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pects of Usage of Speech Acts for Female Marriage-Immigrants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어지다’류 동사 습득 양상에 대한 연구 - 어근 동사에 따른 습득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Inchoative Verbs with ‘-e cita’ Type in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reference to different acquisition according to verb roots

언어학 | 59 | 2011 | 언어학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 - ‘무슨’-수사의문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ed on 'Museun'-rhetorical questions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중국 학생을 위한 한자어 음가 지도 방안

The Pedagogical Model of Chinese Character Pronunciation Instruction for Chinese Learners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t Oversea's Koreanology Educational Institute - Centrally Erciyes University of Turkey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 학술지의 현황과 분석

Current State and an Analysis of Research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s.

한국어교육 | 22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의 한국어 고급 교재 분석

A study on KFL textbooks for the advanced learners in China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초급 교실에서의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응용언어학 | 27 | 1 | 2011 | 언어학

한국어교육 연구의 균형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 문학 교육의 실제 - 유학생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전망 -

Teaching the Korean Literature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syllabu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jong Hakdang; Beginner level’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 노래 가사 활용 방안 연구 - 나선형 접근을 응용하여 -

The Study on Using Lyrics in Primary KFL Classes

우리말글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본의 한국어 교육 및 규범성 문제

The Education of Korean in Japan and Its Norms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 행위 지시 표현 교육 연구 - 의문형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Directive Expressions for Language Teaching for Foreign Learners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의 현황과 실제 ― 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universities : Focus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교육에서 외래어 교육의 위상

Phase of foreig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Poetry Teaching throug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Poetry Teaching throug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ppro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質問 類型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影響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質問 類型이 읽기 이해에 미치는 影響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Questions on Read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A study of teaching method of Adnominal Ending Forms for Korean learners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A study of teaching method of Adnominal Ending Forms for Korean learners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의미 교육 방안

The meaning-teaching method for adjectives like 'ahrumdapda,' 'yepuda,' 'gopd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er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의미 교육 방안

The meaning-teaching method for adjectives like 'ahrumdapda,' 'yepuda,' 'gopd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er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보조 자료의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assisted materials in Korean Education - Focused on the Teaching Assistant System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한국어 공간 개념 부사격 조사의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구 -‘에’, ‘에서’, ‘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cription Methods of the Adverbial Case Particles for Korean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준말 종결어미에 대하여 - 종결어미와 종결어미의 통합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hortened Conclusive-Ending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Compound Forms of Double Conclusive-Endings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보조 자료의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assisted materials in Korean Education - Focused on the Teaching Assistant System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교육 연구 - 사회 호칭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ducation of Korean Address Term for Chinese Learners - Focusing on Society for the Address Term of Relatives

한국언어문화학 | 8 | 2 | 2011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Study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n Concess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Study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n Concess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지 ‘-고’의 검토

A research on the indirect quotational marker {-ko} in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 나타난 간접 인용 표지 ‘-고’의 검토

A research on the indirect quotational marker {-ko} in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상호 역할에 대한 바람직한 시각

The Desirable View on the Reciprocal Roles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상호 역할에 대한 바람직한 시각

The Desirable View on the Reciprocal Roles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The Nature of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s Narrative Expression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The Nature of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s Narrative Expression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 - ‘무슨’-수사의문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stru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ed on 'Museun'-rhetorical questions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 문학 교육의 실제 - 유학생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전망 -

Teaching the Korean Literature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적합성 판단과 기준 - 한국어 연수생의 문학작품 수업을 바탕으로 -

Korean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and standards - Korean literature classes on the basis of trainees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학습자 중심 작문 평가 결과 제시 방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earner‐Centered Methods of Writing Assessment Result Presentation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자기주도적 쓰기 기술 및 전략 연구- 한국어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Study on Self-Directed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KAP Students.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기주도적 쓰기 기술 및 전략 연구- 한국어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Study on Self-Directed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KAP Students.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제-초점 중심의 텍스트 구조 유형화에 대한 고찰 - 설득 텍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pic/Focus‐centered Text Structure Typing

새국어교육 | 87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에서 보조사 ‘나’의 교육 방안

A Study on Setting up the Educational Information of Auxiliary Particle ‘N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외래어 표기 규범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Norm of Loan Word Represent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The Study for features of reject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V drama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The Study for features of reject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V drama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t Oversea's Koreanology Educational Institute - Centrally Erciyes University of Turkey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 학술지의 현황과 분석

Current State and an Analysis of Research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s.

한국어교육 | 22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합성동사의 선정과 배열 -동사 결합형 합성동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ng Compound Verbs and Arranging them in Learning Sta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Verb Base+(Connective Ending+)Verb Base'-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Study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n Concess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Study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n Concess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溫故而知新의 國語敎育學을 위하여 -國語敎育 學問 定立의 先驅者 蘭臺 李應百 先生을 기리며-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溫故而知新의 國語敎育學을 위하여 -國語敎育 學問 定立의 先驅者 蘭臺 李應百 先生을 기리며-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상호 역할에 대한 바람직한 시각

The Desirable View on the Reciprocal Roles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상호 역할에 대한 바람직한 시각

The Desirable View on the Reciprocal Roles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What Classification of Texts is Fit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류 체계 연구-읽기와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What Classification of Texts is Fit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에서 '통합'에 대한 관점

The viewpoint of integration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에서 '통합'에 대한 관점

The viewpoint of integration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그림 보고 말하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o Korean Learners through Looking at and Talking about a Picture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그림 보고 말하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o Korean Learners through Looking at and Talking about a Picture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An Integrated Leveling Method of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 방안 -영화 ‘기다리다 미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ctivity Class through Movies -With Focus on the Movie titled ‘Going Crazy in Waiting’ -

어문론집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 방안 -영화 ‘기다리다 미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ctivity Class through Movies -With Focus on the Movie titled ‘Going Crazy in Waiting’ -

어문론집 | 44 | | 2010 | 한국어와문학

‘협상’ 담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호혜적 협상의 기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Negotiation’ as Conversation Pattern -focu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in-win negotiation-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협상’ 담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호혜적 협상의 기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Negotiation’ as Conversation Pattern -focused on the basic elements of win-win negotiation-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사 습득 연구―중국인 학습자와 몽골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Causativ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L1 Chinese and Mongolian Learners―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사 습득 연구―중국인 학습자와 몽골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Causativ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L1 Chinese and Mongolian Learners―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s for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어휘력 평가의 평가 요소와 평가 유형에 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Types and Factors of Lexical Assessment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Study on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Textbook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별 스토리텔링 수행 능력에 관한 소고

Understanding of Korean Learners' Storytelling Performance Abilities according to Tasks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랍국가의 한국어 교육현황 -이집트, 요르단, 모르코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Egypt, Jordan and Morocco-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아랍국가의 한국어 교육현황 -이집트, 요르단, 모르코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rab Countries -Focused on Egypt, Jordan and Morocco-

중동문제연구 | 9 | 1 | 2010 | 지역학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A study on the aspects of American learners’ Korean interlanguage development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국어과 교육

Career education perspectiv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여성결혼이민자의 화행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pects of Usage of Speech Acts for Female Marriage-Immigrants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현직 국어 교사들의 인식

A Survey of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의미 확립 단계를 이용한 한국어 다의어 교육 방안

A Method of Teaching Korean Polysemy for Foreigner with Divided Step of Meaning

언어학 연구 | 22 | 2012 | 기타언어학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n the recent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Language Cultur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s -Focusing on 「Shimcheon-jeon」, the Pansori Novel-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미군정기 『한글 첫걸음』 교재에 대한 맥락 연구

A Contextual Study on the Korean Textbook First Step in Korean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실천 과제

Academic identity and practice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예 텍스트 활용 방안

A Study of Using Literary Texts in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Textbook Analysis on a Valuation Basis of TOPIK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asures and a Class Model for Korean Course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법 학습 경험 맥락에 따른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의 보편성과 특수성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n facilitator of grammar learning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 문화교육의 제반 문제

Various matters of Korean language cultural education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연구 ― 정부 부처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개선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 With Focus on the Ro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사 습득 연구―중국인 학습자와 몽골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Causativ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L1 Chinese and Mongolian Learners―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사 습득 연구―중국인 학습자와 몽골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Causativ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L1 Chinese and Mongolian Learners―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A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Poland

폴란드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의 학제적 성격과 학적 체계

A Study on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 and the scientific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새국어교육 | 90 | 2012 | 국어교육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The Study for features of reject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V drama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와 드라마에 나타난 거절표현 특징 연구 -추론단계 중심으로-

The Study for features of reject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V drama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국어 지배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의 사례 연구 -태국 내 학습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eaching-Lean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in the Environment under Dominant Influence of Mother Tongue-focused on Thailand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자기주도적 쓰기 기술 및 전략 연구- 한국어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Study on Self-Directed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KAP Students.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기주도적 쓰기 기술 및 전략 연구- 한국어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Study on Self-Directed Writing Skills and Strategies for KAP Students.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zing the Worth and Setting up the List of Pure-Korean Wor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융복합 교육의 양상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Korean Language Education’s Approach about Aspect of Fusion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실 -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한국학연구 | 41 | 2012 | 기타인문학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classroom climate on learning achievement: Focusing on Korean language learners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classroom climate on learning achievement: Focusing on Korean language learners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of Chan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Materials -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Material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7 | 1 | 2010 | 한국어교육학

다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제재 선정 원리 탐색

A Study on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다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제재 선정 원리 탐색

A Study on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문형 교육 방안

A teaching proposal of expressions including dependent nou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외국어교육연구 | 25 | 1 | 2011 | 외국어교육학

A Study on the Important Values of Contemporary Korean Human Relations in TV Commercials

광고에 나타난 한국인의 인간관계의 중점 가치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 8 | 1 | 2011 | 한국어교육학

海外 韓國語 學習者를 위한 漢字 및 漢字語 敎育方案 -베네치아大學*을 中心으로-

A Study on Korean-Chinese Words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abroad

漢字漢文敎育 | 1 | 28 | 2012 | 한문교육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 비평에 나타난 극성 중심의 연극 읽기 연구

The Study on Theatre Reading Focused on the Dramatic Represented in Theatre Critique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44 | 2010 | 언어학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는 것 같다’, ‘-나 보다’, ‘-는 모양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 44 | 2010 | 언어학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 연구: 한국어와 태국어의 대조 분석에 기반하여

A study on the type of errors produced by Thai learners of Korean: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Thai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1 | 2011 | 언어학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hrough a discourse analysis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syllabu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jong Hakdang; Beginner level’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한국어 초급 교실에서의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응용언어학 | 27 | 1 | 2011 | 언어학

현대소설과 외국인을 위한 문학교육

Contemporary Fictions an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시학과 언어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소설과 외국인을 위한 문학교육

Contemporary Fictions and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시학과 언어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원격대학의 실용한국어 동영상 강의 개발 방안

Developing an online pract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course for a cyber university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42 | 2010 | 언어학

문법 교육 항목으로서의 새로운 관형사절 도입에 대하여

A Study on Necessity of New Adnominal clause as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중언어학 | | 42 | 2010 | 언어학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사례에 대한 타당성 검토

Propriety Investigation about Application Case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Learning Model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과 모험 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isk-taking on the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learners

이중언어학 | 45 | 2011 | 언어학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A Critical Survey on the Cognitive Writing Education

작문연구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기능 교육 철학의 비판적 재검토 ― 새로운 작문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A Critical Survey on the Cognitive Writing Education

작문연구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목표 제시 양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Way of Presenting Learning Goals of pre-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그림 보고 말하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o Korean Learners through Looking at and Talking about a Picture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그림 보고 말하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o Korean Learners through Looking at and Talking about a Picture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An Integrated Leveling Method of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