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연구 -연세대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of Korean Collocation of Korean Teaching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한국어 연어 연구의 전개와 쟁점에 대하여
On the Development and Issues of Korean Collocation Studies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A Corpus-based Approach to Scalar Approximators
수량근접사에 대한 코퍼스적 접근
외국어교육연구 |
25 |
2 |
2011 |
외국어교육학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verbal collocations in Korea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용언형 연어의 문법범주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verbal collocations in Korea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 의존명사에 의한 문법적 연어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 Collocation of Korean Bound Nouns
언어과학 |
17 |
3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에서 의존명사에 의한 문법적 연어 연구
A Study on Grammatical Collocation of Korean Bound Nouns
언어과학 |
17 |
3 |
2010 |
언어학
국어 어미적 연어의 필요성과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Korean ending-like collocation and the selection of its inventory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어미적 연어의 필요성과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Korean ending-like collocation and the selection of its inventory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명시적인 어휘적 연어 지도가 문법적 연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치사 연어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explicit lexical collocation instruction on the grammatical collocation knowledge: Focusing on preposition collocations
영어어문교육 |
16 |
3 |
2010 |
영어와문학
명시적인 어휘적 연어 지도가 문법적 연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치사 연어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explicit lexical collocation instruction on the grammatical collocation knowledge: Focusing on preposition collocations
영어어문교육 |
16 |
3 |
2010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