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체계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인프라/구조/범위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12

STNet ID : 1000703

한자 : 音韻體系

e02-05 인프라/구조/범위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체계 [ 體系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음운 교육 () [ 音韻敎育 ]

RT (관련어)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규칙 [ 音韻規則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 音韻 ]

이중모음 어간의 공시 음운론 -반모음과 음운 현상의 적용 제약-

A Synchronic Phonology of Diphthong-final Stem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중모음 어간의 공시 음운론 -반모음과 음운 현상의 적용 제약-

A Synchronic Phonology of Diphthong-final Stem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명도 제약과 중세 국어 喉音 ‘ㅇ’

The Sonority-based Constraints and ‘ㅇ’ in Middle Korea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명도 제약과 중세 국어 喉音 ‘ㅇ’

The Sonority-based Constraints and ‘ㅇ’ in Middle Korea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북 고령지역어의 음운 연구

Phoneme Study on Goryeong-gun Dialect in Gyeongbuk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경북 고령지역어의 음운 연구

Phoneme Study on Goryeong-gun Dialect in Gyeongbuk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한ㆍ중 음운체계 대조 및 교수방법

韓ㆍ中 音韻体系 對比及敎學方法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

한ㆍ중 음운체계 대조 및 교수방법

韓ㆍ中 音韻体系 對比及敎學方法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