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과 학문

연구분야 : B120000 사회과학 > 교육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847

한자 : 分科學問
영어 : Discipline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학문 () [ 學問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학제간 연구 [ 學際間硏究 ]

1950~1960년대 인문학 학회지에서의 한국학 연구 구성의 특징: 개념·범주·방법론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Studies and the Research Vision of the Dept. of College of Humanities in Korean Universities during 1950~1960's : Concept·Category·Methodology —focusing on the academic journals

열상고전연구 | 33 | 2011 | 기타국문학

분과학문으로서 교육학의 위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현장적 전문성과 학문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A Critical Investigation on the Crisis of Pedagogy as a Discipline: Focusing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Academic Identity

아시아교육연구 | 13 | 3 | 2012 | 교육학

근대 한국정치학과 ‘정치’ 인식의 불연속성 : 전통적 총체성의 상실

Modern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Discontinuity in Recognition of 'Politics' : Loss of Traditional Wholeness

현대정치연구 | 5 | 1 | 2012 | 정치외교학

19세기 초 베를린 대학 철학부와 고전문헌학 세미나 - 세미나와 분과학문의 제도화 -

Philosophical Faculty and Philological Seminar of the University of Berlin in the early 19th Century - Seminar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discipline -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2 | 2011 | 역사학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조건과 실과교육

A Critical Review on Identity of School Subjects Pedagogy as a Academic Discipline and its Implication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실과교육연구 | 16 | 4 | 2010 | 교육학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조건과 실과교육

A Critical Review on Identity of School Subjects Pedagogy as a Academic Discipline and its Implication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실과교육연구 | 16 | 4 | 2010 | 교육학

중국 근대 지식지형의 형성과 패러다임 -전문지식과 전문가집단의 탄생을 중심으로-

中国近代知识版图的形成和范式 -以专业知识和专家群体的产生为中心-

중국사연구 | 71 | 2011 | 동양사

학회지의 사이언스 -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개화기 근대 학문체계의 정초에 관하여-

The Science Journals in the 1900's Korea - A study on the translingual practices and grounding works of the new system of scientific discipline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Korea -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체육학의 미래와 통섭

Future and Consilience of Physical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1 | 2012 | 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