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정 일치

연구분야 : A020299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기타한국사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1033

한자 : 祭政一致
영어 : theocracy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제사장(祭司長)에 의해 다스려지는 국가 또는 정치체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R] 정치 형태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제천 의식 () [ 祭天儀式 ]

근대일본의 제정일치 정책과 불교계의 수용

The theocratic policy in modern Japan and the acceptance of Buddhist community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오우크쇼트의 정치 이론과 교육 이론

Political Theory of M. Oakeshott and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오우크쇼트의 정치 이론과 교육 이론

Political Theory of M. Oakeshott and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明治初期의 宗敎政策 - 神佛分離로부터 大敎宣布運動까지의 歷史的 展開와 政敎分離 -

A Study on the Transitions of the Japanese Religious Policies in the Early Meiji Period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

제정일치적 天降관념의 신라적 변용 ─인도 아쇼까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cculturation of the Theocratic Idea of “Descended from Heaven”(天降)in Silla ─Focused on a Comparison with King Aśoka in India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