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의식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41701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종교 > 한국종교일반

클래스 : 기능/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82

한자 : 祭天儀式
영어 : Jecheon ceremony

b01-06 기능/역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종교 의식 () [ 宗敎儀式 ]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의식 [ 儀式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당산제 () [ 堂山祭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제정 일치 [ 祭政一致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원구단 [ 圜丘壇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사 () [ 郊祀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농사 [ 農事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무속 문화 () [ 巫俗文化 ]

RT (관련어)

기원제

a01-07 준인간 준인간

옥황상제 () [ 玉皇上帝 ]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선도문화적 고찰

泰安地域 巫俗文化の仙道文化的考察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중국정사(正史)에 나타난우리나라 제천의식과 춤

The Korean Harvest Festivals andDance Shown in Official History of China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8 | 68 | 2011 | 무용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Continuous Conditions of Korean Festival Tradi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Festival Property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Continuous Conditions of Korean Festival Tradi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Festival Property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