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산제

연구분야 : A020106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문화사(역사학)
A041100 인문학 > 종교학 > 무(巫)교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960

STNet ID : 1001575

한자 : 堂山祭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산제 () [ 山祭 ]

UF (비우선어)

 

 

대동치성 () [ 大洞致誠 ]

UF (비우선어)

 

 

당산굿 [ 堂山-- ]

UF (비우선어)

 

 

당제 [ 堂祭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제천 의식 () [ 祭天儀式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승제 [ --祭 ]

R1:개념적

RT (관련어)

 

 

동신제 [ 洞神祭 ]

RT (관련어)

 

 

동제 () [ 洞祭 ]

어촌 여성금기의 변화와 지속: 충청남도 서천군 W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Maintenance and the Transformation of a Women’s Taboo at a Fishing Village of Seocheon-gun, South Korea

한국문화인류학 | 45 | 2 | 2012 | 역사학

구포지역의 마을신앙과 의례의 문화원형적 가치

A study of village faith Gupo region and the ceremony is a cultural archetyp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구포지역의 마을신앙과 의례의 문화원형적 가치

A study of village faith Gupo region and the ceremony is a cultural archetyp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Naming and Object Specifying of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문화재 | 43 | 1 | 2010 | 역사학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Naming and Object Specifying of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문화재 | 43 | 1 | 2010 | 역사학

부산‘좌수영성지左水營城址’의 진정성authenticity 회복방안 고찰

Present State of the Dangsan Forest at ‘Jwasuyeongseongji' in Busan and the Perspectives on It's Authenticity Restoration as a Historic Remain

문화재 | 44 | 1 | 2011 | 역사학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Dangsanjae and Tug-of-war as Ceremonies of Buddhism-Mainly on Naeso temple and Dangsanjae in Seokpo village-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Dangsanjae and Tug-of-war as Ceremonies of Buddhism-Mainly on Naeso temple and Dangsanjae in Seokpo village-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