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굿

연구분야 : B111200 사회과학 > 인류학 > 종교및민속신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291

STNet ID : 1001734

한자 :
영어 : maeul-gut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굿( () [Gut]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승제 [ --祭 ]

hasKind (종류)

 

 

호남 지역 마을굿 [ 湖南地域-- ]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고대부족국가

RT (관련어)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마을 제사 [ --祭祀 ]

풍물굿 예능의 소통과 원형 창출 -진도 소포리 풍물굿을 대상으로-

The Communication of Pungmul-gut Entertainment and the Creation of Original Forms -For Jindo Sopori Pungmul-gut-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별신굿의 역사적 전개와 축제성

Historical Process and festive characteristics of Byulsingut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별신굿의 역사적 전개와 축제성

Historical Process and festive characteristics of Byulsingut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공동체신앙 사제자의 범주와 유형

A Category and Type of Village Priests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공동체신앙 사제자의 범주와 유형

A Category and Type of Village Priests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무당굿의 축제 가능성과 방향 모색

Seeking for a Festival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Mudang Gut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무당굿의 축제 가능성과 방향 모색

Seeking for a Festival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Mudang Gut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젠더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무(巫):내림굿과 마을굿을 중심으로

Korean Shamanism in the Point of Gender:Focused on Shamanistic Rites of Would-be Mediums and Village Rituals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충제(虫祭)의 제의적 의미와 정치적 기능 고찰

The Consideration of the Ritualistic Meanings and Political Functions of ‘the Choong-Je’, the Rite against Pests’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충제(虫祭)의 제의적 의미와 정치적 기능 고찰

The Consideration of the Ritualistic Meanings and Political Functions of ‘the Choong-Je’, the Rite against Pests’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공동체 제의와 놀이의 유기적 구성과 축제성의 실현

Organic Composition and Realization of Festivity in Ritual and Play of Community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공동체 제의와 놀이의 유기적 구성과 축제성의 실현

Organic Composition and Realization of Festivity in Ritual and Play of Community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

서울 마을굿의 특성과 계통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 and the classification of Ma-Ul-Kut in Seoul

실천민속학 연구 | 15 | 2010 | 역사학

서울 마을굿의 특성과 계통

A study for the characteristic and the classification of Ma-Ul-Kut in Seoul

실천민속학 연구 | 15 | | 2010 | 역사학

자율과 횡단, 문화 재생산의 이중 효과 - 전남 해남군 ‘마을굿 살리기’를 중심으로

About Double Effects of Cultural reproduction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