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연구분야 : B111200 사회과학 > 인류학 > 종교및민속신앙
A041100 인문학 > 종교학 > 무(巫)교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43

STNet ID : 1000175

한자 :
음차어 : Gut
영어 : exorcism

d02-01 사회제도

목적_o1

소망 기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굿놀이

UF (비우선어)

 

 

무당굿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마을 신앙 [ --信仰 ]

isKindOf (상위 유형)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종교 의식 () [ 宗敎儀式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다리굿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별신굿 () [ 別神-- ]

hasKind (종류)

 

 

배뱅잇굿 (굿)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큰굿 [規模の大きいクッ]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마을 굿 () [maeul-gut]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씻김굿 () [Sitgimgut]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조상굿 [ 祖上-- ]

hasKind (종류)

 

y03-03 행사/축제명 행사/축제명

영등굿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입춘굿 () [ 立春--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탈굿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대동굿 [ 大同--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부군당굿 () [ 府君堂--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도당굿 () [ 都堂--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서울굿 () [Seoul-gut]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무속 신앙 () [ 巫俗信仰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무속 음악 () [ 巫俗音樂 ]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굿거리

RT (관련어)

 

 

무속 장단 [ 巫俗長短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무속 의례 () [ 巫俗儀禮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제석굿 () [ 帝釋-- ]

광주 점복(占卜)문화의 실상과 특징

The Real States of Affairs and Features of Fortune-Telling in Gwang-Ju

문화재 | 43 | 4 | 2010 | 역사학

광주 점복(占卜)문화의 실상과 특징

The Real States of Affairs and Features of Fortune-Telling in Gwang-Ju

문화재 | 43 | 4 | 2010 | 역사학

선교적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와 샤머니즘

Korean Church and Shamanism from the Missional Perspective

선교신학 | 28 | 28 | 2011 | 기독교신학

영동지역 世襲巫와 巫舞

The Study on Hereditary Shaman and Shamanic-dance in Yongdong Area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영동지역 世襲巫와 巫舞

The Study on Hereditary Shaman and Shamanic-dance in Yongdong Area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이윤택의 연극적 문법에 관한 고찰-<문제적 인간 연산>과 <시골 선비 조남명>을 중심으로-

Essay on Lee Yun-Taek's Theatrical Grammar -Focusing on "Problematic Human Yeoun-San" and "Rural Scholar Jo Nam-Myeong"-

한국연극학 | 1 | 46 | 2012 | 연극

195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계몽과 수치심의 관계 고찰 - 잡지 「여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enlightenment which is shown on the women's magazine writing in the 1950' - with 「yeowon」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굿의 연행론적 접근을 통한 마당극 양식론 연구

Research of the Styles of the Madanggeuk Through Approach of the Performance´s Style of the Gut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제주도 무구(巫具) ‘삼멩두’를 통해 본 무조신과 심방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founder of shaman and simbang(shaman) through 'Sammengdu' the shaman's paraphernalia of Jeju island

민속학연구 | 29 | 2011 | 역사학

무교(巫敎)와 천주교 종교 의례의 상호 소통 구조에 대한 고찰: 조선 후기의 접촉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nection factor in the ritual of Shamanism and Catholicism: Focusing contact in the late Chosun Dynasty

신학전망 | 177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조선 후기 무교(巫敎)가천주교 수용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Shamanism in Accepting Catholic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신학전망 | 175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동해안별신굿과 다카치호요카구라의 오신무 비교연구

Comparative Research of Osinmu inDonghaean Byeolsingut and Dakachiho Yokagura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0 | 1 | 2012 | 무용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anthopological on literary text - Lee Chung-jun’ study of

비평문학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화전』의 무속요소 고찰

The observation of shamanism element in 『Ihwajeon』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해안 별신굿 푸너리춤

The study on the Punuri-Ghum in the east-coast Byulshin-Gut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동해안 별신굿 푸너리춤

The study on the Punuri-Ghum in the east-coast Byulshin-Gut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무당과 무당에 대한 에로티즘 연구 - 한승원의《불의 딸》과 조정래의《태백산맥》, 박경리의《토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hamans in Modern Korean Novels and Eroticism about Shamans - Focusing on Han Seungwon's The《Daughter of Fire》and, Jo Jungrae's《The Taeback Mountains》Park Kyungni's《The Land 》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21세기 문화환경과 한국 연극학 - 퍼포먼스 연구의 관점에서 본 굿 문화

Theaterforschung in der verwandelten Kulturumgebung des 21. Jahrhunderts - Das schamanistische Ritual Gut in neuer Sicht der Performance Studies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고령의 무속문화 연구

A Study on the Shamanism in Goryeong Area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고령의 무속문화 연구

A Study on the Shamanism in Goryeong Area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굿의 생태론적 의의 연구-황해도 대동굿의 『벌대감굿』을 예증으로 삼아-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Korea Shamaistic Rite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굿의 생태론적 의의 연구-황해도 대동굿의 『벌대감굿』을 예증으로 삼아-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Korea Shamaistic Rite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연극에 나타난 제의 수용 양상 - 연극 「산씻김」과 「오구-죽음의 형식」에 나타난 제의적 특성을 중심으로

Receptive Aspects of Rituals appearing in Korean Theatric Arts- With a focus on ritualist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play “Sanssikgim” and “Ohgu-formality of death”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