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姬別子圖>에 대한 조선후기 문사들의 인식
The viewpoint of the literatis of late Joseon regarding the painting ‘Farewell of Wen-chi’
석당논총 |
52 |
2012 |
기타인문학
이여송과 모문룡
Lee Ru-sung and Mao Wen-lung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이여송과 모문룡
Lee Ru-sung and Mao Wen-lung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문명과 제국 사이: 병자호란 전후시기 주화․척화논쟁을 통해 본 조선 지식관료층의 ‘國’ 표상
Between Civilization and Empire :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representation of 'guk(國)'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2 |
2011 |
동양정치사상
공동체신앙 사제자의 범주와 유형
A Category and Type of Village Priests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공동체신앙 사제자의 범주와 유형
A Category and Type of Village Priests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소현세자빈 강씨’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고 - 광명시 영회원 역사주제공원, ‘강빈 야판전(姜嬪 野坂田)’ 조성 제안 -
A Study for Development in Historical & Cultural Contents of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 Suggestion for forming historical theme park in Yeonghoewon(永懷園) of Gwangmyeong City -
인문콘텐츠 |
17 |
2010 |
기타인문학
‘소현세자빈 강씨’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고 - 광명시 영회원 역사주제공원, ‘강빈 야판전(姜嬪 野坂田)’ 조성 제안 -
A Study for Development in Historical & Cultural Contents of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 Suggestion for forming historical theme park in Yeonghoewon(永懷園) of Gwangmyeong City -
인문콘텐츠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Traditional Aspects of Folk Related to King Gongmin and Residents’ Culture Reading and Writing in Andong Area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Traditional Aspects of Folk Related to King Gongmin and Residents’ Culture Reading and Writing in Andong Area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636년의 해로 사행과 李晩榮의 『崇禎丙子朝天錄』
Seaway Envoy Trip in 1636 and 『Sungㆍjeongㆍbyeongㆍjaㆍjoㆍcheonㆍrok (崇禎丙子朝天錄)』 of Lee Man Yeong(李晩榮)
인문과학 |
47 |
2011 |
기타인문학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
A Study on the Aspects and Social Meanings of the Popularity(通俗化) i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
A Study on the Aspects and Social Meanings of the Popularity(通俗化) i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Village Community Religion and Ecological Folklore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마을공동체신앙과 생태민속-하회별신굿의 생태민속학적 해석-
Village Community Religion and Ecological Folklore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壬辰倭亂の'戰後處理'と東アジア國際秩序の變動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壬辰倭亂の'戰後處理'と東アジア國際秩序の變動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한국한문학 속의 경계, 좌절, 반성의 공간 - 심양(瀋陽)
A place of wariness, frustration and reflection in the Chinese classics in Korea – Shenyang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한문학 속의 경계, 좌절, 반성의 공간 - 심양(瀋陽)
A place of wariness, frustration and reflection in the Chinese classics in Korea – Shenyang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太白五賢’의 삶을 통해 본 奉化地域의 文學地理
Literary geography of the ‘Bonghwa Area’ as viewed through the life of the ‘Five Sages of Taebaek’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16~17세기 鳥銃의 도입과 조선의 軍事的 변화
The introduction of Musket and Joseon’s Military change from 16 to 17 Century
한국문화 |
58 |
2012 |
기타인문학
남평 조씨 3년 9개월의 家政과 인간경영 -『병자일기』 중심으로-
The Housekeeping and Management Style of Nampyeong Cho During the 3 years 9 months -Centered on 『Byeongjailgi』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평 조씨 3년 9개월의 家政과 인간경영 -『병자일기』 중심으로-
The Housekeeping and Management Style of Nampyeong Cho During the 3 years 9 months -Centered on 『Byeongjailgi』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履萬의 <扈聖翁傳> 硏究
A Study on Kim Yiman's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滄洲 金益熙(1610∼1656)의 政治活動
Kim Ikhee’s (1610∼1656) Politics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구포지역의 마을신앙과 의례의 문화원형적 가치
A study of village faith Gupo region and the ceremony is a cultural archetyp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구포지역의 마을신앙과 의례의 문화원형적 가치
A study of village faith Gupo region and the ceremony is a cultural archetype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공동체 제의와 놀이의 유기적 구성과 축제성의 실현
Organic Composition and Realization of Festivity in Ritual and Play of Community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공동체 제의와 놀이의 유기적 구성과 축제성의 실현
Organic Composition and Realization of Festivity in Ritual and Play of Community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
『최종병기 활』을 통해 본 활의 역사적 고찰
The Historical Discussion of Bow Throughout Movie of the Last Weapon Bow
군사연구 |
132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소현세자빈 강씨의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Reappraisal leadership of the Crown Princess K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知足堂 朴明榑의 삶과 시세계
Life and Poetic World of Jijokdang Park Myeong-Bu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知足堂 朴明榑의 삶과 시세계
Life and Poetic World of Jijokdang Park Myeong-Bu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촌락공동체신앙 전승의 현재적 의미 - 경북 문경시 부곡리 별신굿을 중심으로 -
村落共同体信仰传承的当今意义 : 以庆尚北道闻庆市富谷里的村神祭为中心
민족문화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별신굿의 역사적 전개와 축제성
Historical Process and festive characteristics of Byulsingut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별신굿의 역사적 전개와 축제성
Historical Process and festive characteristics of Byulsingut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Continuous Conditions of Korean Festival Tradi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Festival Property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Continuous Conditions of Korean Festival Tradition and New Understanding of Festival Property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병란(丙亂) 트라우마 대응 고소설의 집단서사와 현대적 재매개화 이본으로서의 <최종병기 활>
Collective Epic Narrative of Classical Novel Responding to Trauma of the Manchu War of 1636 and Contemporary Version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한국 양명학의 역사적 성과와 발전 방향
The historic results and the growing course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양명학 |
30 |
2011 |
철학
명청교체기 瀋陽館의 역할
The Role of Shenyang-Guan(瀋陽館) during the Ming-Ch’ing Transition
한국문화 |
50 |
2010 |
기타인문학
명청교체기 瀋陽館의 역할
The Role of Shenyang-Guan(瀋陽館) during the Ming-Ch’ing Transition
한국문화 |
|
50 |
2010 |
기타인문학
마산오광대의 연행 배경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laying background of Masan O-gwangdai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산오광대의 연행 배경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laying background of Masan O-gwangdai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and narrative of the memory -The King Injo's memory and Gangdomongyurok as the fight memory-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and narrative of the memory -The King Injo's memory and Gangdomongyurok as the fight memory-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초 金尙憲과 崔鳴吉의 양면적 역사인식
Ambivalent Recognition of History of Kim, Sang-Hun and Choi, Myung-Kil in early 17th century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17세기 초 金尙憲과 崔鳴吉의 양면적 역사인식
Ambivalent Recognition of History of Kim, Sang-Hun and Choi, Myung-Kil in early 17th century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The honor policy of faithful retainer patriot of Byeongjahoran(丙子胡亂) in Chosun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The honor policy of faithful retainer patriot of Byeongjahoran(丙子胡亂) in Chosun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