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육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01

STNet ID : 1001136

한자 : 金堉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아들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좌명 () [ 金左明 ]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The Portraits of Envoys Sent to China in Joseon Period

명청사연구 | 33 | 2010 | 역사학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The Portraits of Envoys Sent to China in Joseon Period

명청사연구 |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효경』·『충경』 이해와 효치론 김육(金堉)과 영조(英祖)를 중심으로

The Understand of Hyogyŏng and Chúngkyŏ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 | 35 | 1 | 2012 | 기타인문학

정조의 인물인식 - 『해동신감』을 중심으로 -

King Jeongjo's a Perceptions of figures revealed in 『Haedongshingam』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잠곡(潛谷) 김육(金堉)의 부(賦)문학 연구 - 『잠곡유고(潛谷遺稿)』에 형상화된 주제양상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동법의 성립에서 김육의 역할

Kim Yuk’ Role in The Legislation of Taedongpŏp

史叢(사총) | 72 | 2011 | 기타역사일반

김육 개혁사상의 연원(淵源)과 성격

Kim Yuk's Idea of the Taedongpŏp: Its Origin and Nature

韓國史學報 | 44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