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몽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316

한자 : 胎夢
영어 : Precognitive Dream about the Fetus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임신 [ 妊娠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태교 [ 胎敎 ]

왕후의 꿈과 욕망의 서사 -장화왕후(莊和王后)와 공예태후(恭睿太后) 열전을 중심으로-

The narrative made up the dream and desire of queen centering around the biographies of the Queen Janghwa and the Queen Dowager Gongye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강감찬 설화에 구현된 출생담의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Birth Story of Gang Gam-Chan shown in the Traditional Tales

실천민속학 연구 | 20 | 2012 | 역사학

비극적 태몽담과 죄의식의 문제 ―구전설화 <태몽>을 중심으로―

The essay on the tragic dream of conception tales and the consumed with guilt centering around Taemong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극적 태몽담과 죄의식의 문제 ―구전설화 <태몽>을 중심으로―

The essay on the tragic dream of conception tales and the consumed with guilt centering around Taemong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