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연구분야 : E140100 의약학 > 산부인과학 > 일반부인과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4438

한자 : 妊娠
영어 : pregnancy

c03-01 상태/상황

원인_t

수정란이 자궁 내벽에 착상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잉중 [ 孕中 ]

UF (비우선어)

 

 

잉신 [ 孕娠 ]

UF (비우선어)

 

 

성태 [ 成胎 ]

UF (비우선어)

 

 

잉태 [ 孕胎 ]

R1:개념적

affects (영향)

 

x03-06-04 반응/대응 반응/대응

기초 대사 () [ 基礎代謝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태몽 [ 胎夢 ]

isStateOf (상태의 대상)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임신성 당뇨 () [ 姙娠性糖尿 ]

RT (관련어)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태아 [ 胎兒 ]

RT (관련어)

 

 

모성권 [ 母性權 ]

영국 NHS의 모성서비스 관련 의료과오보상제도의 경험과 그 함의

The NHS litigation scheme related to Maternity Services in UK: its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의료법학 | 11 | 2 | 2010 | 법학

영국 NHS의 모성서비스 관련 의료과오보상제도의 경험과 그 함의

The NHS litigation scheme related to Maternity Services in UK: its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의료법학 | 11 | 2 | 2010 | 법학

„SCHWANGER GEHT DIE MENSCHHEIT“ - Nietzsches Philosophie des Leibes und der Zukunft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임신 출산 관련 어휘 연구-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Vocabulary Study on 'Pregnancy・Childbirth' - Focusing on Gyeongsang-do Regi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신 출산 관련 어휘 연구-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Vocabulary Study on 'Pregnancy・Childbirth' - Focusing on Gyeongsang-do Regi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대 로마의 임신과 피임에 대한 이론과 실제

On the Theories and Practice of Contraception in the Roman Empire

역사와경계 | 76 | 2010 | 역사학

고대 로마의 임신과 피임에 대한 이론과 실제

On the Theories and Practice of Contraception in the Roman Empire

역사와경계 | | 76 | 2010 | 역사학

지방자치단체의 임신 관련 건강 및 교육 정책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Area Local Governments’ Health and Education Policies regarding Pregnancy

유아교육학논집 | 14 | 3 | 2010 | 교육학

지방자치단체의 임신 관련 건강 및 교육 정책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Area Local Governments’ Health and Education Policies regarding Pregnancy

유아교육학논집 | 14 | 3 | 2010 | 교육학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

Freedom not to Breed and Self-determinatio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

Freedom not to Breed and Self-determination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