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제 근무

연구분야 : B050400 사회과학 > 경영학 > 인사/조직관리
B150200 사회과학 > 정책학 > 인사정책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696

한자 : 時間制勤務
영어 : part-time work

d02-03 경제경영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유연성 [ 柔軟性 ]

S:동의

UF (비우선어)

 

 

시간제 근무제 [ 時間制 勤務制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유연 근무제 [ 柔軟勤務制 ]

R1:개념적

RT (관련어)

대비

 

전일제

공무원 유연근무제 정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탄력근무, 시간제근무 및 재택근무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ccessful Establishment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 Focusing upon Flex-Time Work, Part-Time Work and Telecommuting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4 | 2011 | 정치외교학

영국과 우리나라 공공부문 유연근무제의 비교연구

Flexible Working in the U.K. and Korea: A Comparative Study on the Public Sector

국가정책연구 | 26 | 3 | 2012 | 정책학

공직사회 유연근무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ex Working in Public Sector of Korea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9 | 3 | 2010 | 행정학

공직사회 유연근무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ex Working in Public Sector of Korea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9 | 3 | 2010 | 행정학

우리나라 공직사회 시간제 근무제도의 발전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영국과 미국의 제도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t-Time Work System in Korea: Focusing upon the Review of Part-Time Work System in the U.K and U.S.A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10 | 3 | 2011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