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39

STNet ID : 1000143

한자 : 敎材
영어 : teaching materials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hasPurpose (목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학습 () [ 學習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재료 [ 材料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환경 교육 교재 [ 環境敎育敎材 ]

hasKind (종류)

 

 

직업 훈련 교재 [ 職業訓練敎材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음악 교재 [ 音樂敎材 ]

hasKind (종류)

 

 

불교 교육 교재 [ 佛敎敎育敎材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한국어 교재 () [ 韓國語敎材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모듈식 교재 [ --式敎材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교과서 () [ 敎科書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비투시 자료 () [ 非投視資料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교구 [ 敎具 ]

RT (관련어)

 

 

교재비 [ 敎材費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재 개발 [ 敎材開發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일본어 교재 () [ 日本語敎材 ]

한국 피아노교육에서의 반주교재 활용 실태조사

Investigating the Use of Harmonizing and Accompanying materials in the Piano Lesson

음악과 민족 | 39 | 2010 | 음악학

한국 피아노교육에서의 반주교재 활용 실태조사

Investigating the Use of Harmonizing and Accompanying materials in the Piano Lesson

음악과 민족 | | 39 | 2010 | 음악학

대학에서 교양 역사 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of Civilization" Textbooks Utilized at History Classes at Universities and Historical Perception

한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0 | 역사학

대학에서 교양 역사 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of Civilization" Textbooks Utilized at History Classes at Universities and Historical Perception

한국근현대사연구 | | 53 | 2010 | 역사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교육 양상 연구 -연세대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of Korean Collocation of Korean Teaching

언어학 연구 | 16 | 2010 | 기타언어학

인터넷 기반 영어 학습이 초등학생의 듣기 및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based English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국제언어문학 | 25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松江 時調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 of Song-Gang Sijo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읽기와 한국어 읽기 교재를 중심으로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대학글쓰기 교육과 인문학 지평의 확장 - 숙명여자대학교 글쓰기 교육사를 중심으로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The Extension of Humanities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내러티브 전략을 활용한 법교육 교재 개발의 가능성

A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Law-related teaching materials using narrative strategy

미국헌법연구 | 23 | 1 | 2012 | 헌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교재 만들기 수업 모델(안)에 대하여

A Study on ‘Instruction Model in mak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용, 교재 만들기 수업 모델(안)에 대하여

A Study on ‘Instruction Model in making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KNL text books and KFL text books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face between KNL text books and KFL text books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미술교육에서의 만다라 교재화

Mandala as a Teaching Material in Art Educati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9 | 2011 | 학제간연구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The Status of Discourse as Representamen of Educational contents

문법 교육 | 16 | 2012 | 국어교육

의복구성 교재에 나타난 테일러드 재킷 패턴 연구

A Study on Tailored Jacket Patterns in Textbooks Regarding to Clothing Construction

한복문화 | 15 | 2 | 2012 | 의상

글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체계화 방안 : 저작권 교육을 중심으로

The Frame of Contents on the Instruction of Writing Ethics

한국초등교육 | 20 | 2 | 2010 | 기타교육학

글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체계화 방안 : 저작권 교육을 중심으로

The Frame of Contents on the Instruction of Writing Ethics

한국초등교육 | 20 | 2 | 2010 | 기타교육학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농식품 안전 교재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Safety Education Textbook on Agri-Food for Creative Activities of 2009 Revised Curriculum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4 | 3 | 2011 | 교육학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of Chan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Materials -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Material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과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배경 요인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Background Factors for the Science Underachiv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과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배경 요인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Background Factors for the Science Underachiver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Topics Based on Culture in the Primary English National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초등영어교육과정에서의 문화 관련 성취기준 및 소재목록 설정 방안 연구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Topics Based on Culture in the Primary English National Curriculum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시 창작 교육의 제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in Poem Creative Education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시 창작 교육의 제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in Poem Creative Education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대학 교양한자 교재의 개선방안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Materials for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s Liberal Arts’ at College

동방한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 교양한자 교재의 개선방안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Materials for ‘Education of Chinese Letters as Liberal Arts’ at College

동방한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 글쓰기 강좌의 개선을 위한 교재와 강의안 구성 시론

An Essay for Configuration of Textbooks and Syllabus for College Writing Course

교양교육연구 | 6 | 1 | 2012 | 학제간연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재의 최근 경향과 특성

Trends and developments in textbook and course materials for German as a foreign language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Теория звучащей речи Е.А.Брызгуновой и ее развитие в учебных пособиях для иностранцев

The theory of speech Bryzgunova E.A. and its development in the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체육 직무연수 및 교재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towar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Physic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Improvement Plans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체육 직무연수 및 교재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towar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Physic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Improvement Plans

한국초등교육 | 21 | 1 | 2010 | 기타교육학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평가기준 시안

日本語文學 | 1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中等学校日本語教科書の評価基準開発に関する研究

일본어교육연구 | 19 | 2010 | 일본어교육

중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中等学校日本語教科書の評価基準開発に関する研究

일본어교육연구 | | 19 | 2010 | 일본어교육

대학 교양 국어용 화법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

Review of the University’s Speech Textbooks

화법연구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 교양 국어용 화법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

Review of the University’s Speech Textbooks

화법연구 | | 16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어 교재의 연습에 대한 분석 고찰 -『Schritte international』과 『Delfin』을 중심으로-

Eine analytische Untersuchung von Übungen und Aufgaben in den Daf-Werken Schritte international und Delfin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교재의 연습에 대한 분석 고찰 -『Schritte international』과 『Delfin』을 중심으로-

Eine analytische Untersuchung von Übungen und Aufgaben in den Daf-Werken Schritte international und Delfin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유물자료를 활용한 한국사 교실 수업

Korean History Classroom Lesson Using Artifact Materials

역사와 세계 | 39 | 2011 | 기타역사일반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의 개발 현황 및 개발 방향

Current Situations and Directions of the Developing Textbooks for Korean Teacher's Education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의 개발 현황 및 개발 방향

Current Situations and Directions of the Developing Textbooks for Korean Teacher's Education

교육문화연구 | 16 | 1 | 2010 | 기타교육학

국내의 독일어 교재 분석 - 『대학생을 위한 활용독일어 I, II』와 『Willkommenl Neu』

Eine Analyse koreanischer Lehrwerke für Deutsch als Fremdsprache - Lebendiges Deutsch für Studenten I, II und Willkommen! Neu

헤세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교재 텍스트의 변화 양상 고찰 - 의사소통적 측면을 중심으로 -

Eine historische Untersuchung von Texten in DaF-Lehrwerken

독어교육 | 51 | 51 | 2011 | 독일어와문학

교과서의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 텍스트언어학의 과제와 한계 -

Textlinguistische Betrachtung von Lehrbüchern-Aufgaben und Grenzen der Textlinguistik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