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상세화가 한국어 읽기 이해와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 elabora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응용언어학 |
26 |
1 |
2010 |
언어학
텍스트 상세화가 한국어 읽기 이해와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 elabora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응용언어학 |
26 |
1 |
2010 |
언어학
고급 한국어 교재 내 읽기 자료의 텍스트 전형성 연구 -사설·칼럼 텍스트 분석을 바탕으로-
A Research on Text Typicality of Reading Materials in Advanc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of editorial/column texts-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의 현황과 실제 ― 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universities : Focus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재연구 수업과정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process in Instructional Design for Teaching Physical Activities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5 |
2 |
2010 |
체육교육학
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재연구 수업과정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process in Instructional Design for Teaching Physical Activities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5 |
2 |
2010 |
체육교육학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syllabu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jong Hakdang; Beginner level’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초등영어 교과서의 단어 해독가능도
Decodability of Primary School English Textbooks
외국어교육연구 |
24 |
1 |
2010 |
외국어교육학
초등영어 교과서의 단어 해독가능도
Decodability of Primary School English Textbooks
외국어교육연구 |
24 |
1 |
2010 |
외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업 도구 개발의 실제 -보조 자료의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assisted materials in Korean Education - Focused on the Teaching Assistant System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심력에서 원심력으로 -시대적 변화에 응답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교단 기독교교육 분석-
From Centripetal Force to Centrifugal Force:Analysis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기독교교육 논총 |
27 |
2011 |
기독교교육
운율 지도를 위한 고등학교 내용중심 교재 단원 개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2 |
2011 |
언어학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의 단원모형 개발 연구
Developing model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jonghakdang: Beginner level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어문 규범 교재의 실제
The Practice for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Standard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한국의 중국문학번역교육 현황과 개선 방향
Korea’s Educational Situation of Literary Translation from Chinese to Korean and the Future Direction
통번역교육연구 |
10 |
1 |
2012 |
통역번역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어휘Ⅱ』 교재 개발을 위한한국어 학습자 요구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for Developing ‘VocabularyⅡ’ Materials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휘Ⅱ』 교재 개발을 위한한국어 학습자 요구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Learners' Needs Analysisfor Developing ‘VocabularyⅡ’ Materials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