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매체

연구분야 : B1204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공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1404

STNet ID : 1002331

한자 : 敎授媒體
영어 : instructional media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수업매체 [ 授業媒體 ]

UF (비우선어)

 

 

교육 매체 [ 敎育媒體 ]

UF (비우선어)

 

 

교수 학습 자료 [ 敎授學習資料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학습 자료 [ 學習資料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ICT 활용 교수 학습자료 [ --活用敎授學習資料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하이퍼미디어 [hypermedia]

hasKind (종류)

 

x03-06 상호작용 상호작용

상호작용 비디오 [ 相互作用--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학습 내용 () [ 學習內容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SMCR모형 [ --模形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재 개발 [ 敎材開發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교육 매체 센터 [ 敎育媒體--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BOD [Broadcasting On Demand]

RT (관련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교수-학습 개발 센터 [ 敎授學習開發--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비투시 자료 () [ 非投視資料 ]

RT (관련어)

 

 

교구 [ 矯捄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다중매체키트 [ 多重媒體--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a04-06 도구/수단 / c01-07 감각 감각

시청각교구 [ 視聽覺敎具 ]

RT (관련어)

 

 

교수자원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RT (관련어)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학습 촉진 요인 [ 學習促進要因 ]

RT (관련어)

유사개념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교수 자료 [ 敎授資料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지 부하 이론 [ 認知 負荷 理論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학습 촉진 [ 學習促進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경험의 원추 [ 經驗--圓錐 ]

외국어-프랑스어 교육자료로서 프랑스 및 프랑스어권 관련 동영상

Les documents multimédias sur la France et la Francophonie pour l'enseignement/apprentissage du FLE

프랑스어문교육 | 4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Educa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Multicultural Age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Educa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Multicultural Age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영화를 활용한 북한 이해 수업의 실제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북한 영화를 활용한 북한 이해 수업의 실제

Teaching Practice for Raising Awareness of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Films

윤리연구 | 1 | 78 | 2010 | 학제간연구

初等學校 漢文 敎育課程 제정을 위한 試論(2)-敎授·學習 方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Writing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2) -With Emphasis on Teaching-Learning Methodologie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初等學校 漢文 敎育課程 제정을 위한 試論(2)-敎授·學習 方法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Writing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2) -With Emphasis on Teaching-Learning Methodologies-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원격교육의 매체선정 고려요소: 교수자, 매체개발자, 기술전문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Media Selection Factors in Dista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Professors, Media Developers and Technology Experts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8 | 2 | 2012 | 교육학

교수방법, 교수매체, 교수능력개발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원의 인식분석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wareness about Educational Method, Media and Teacher Development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 2 | 2010 | 교육학

교수방법, 교수매체, 교수능력개발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원의 인식분석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wareness about Educational Method, Media and Teacher Development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 2 | 2010 | 교육학

결혼이민자를 위한 방언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 고찰

On the Korean dialect teaching materials for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결혼이민자를 위한 방언 한국어 교재의 필요성 고찰

On the Korean dialect teaching materials for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아교육실습을 위한 교수매체 제작 및 활용에 대한 현황과 실습지도 교사의 요구

An analysis of cooperat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s on student teacher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in practice teaching

교육연구 | 54 | 2012 | 교과교육학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of Chan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Materials -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Materials

국어교육연구 | 27 | 2011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