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리티

연구분야 : A11021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문학비평(국문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4179

한자 :
영어 : glocality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지역성 () [ 地域性 ]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로컬리티 [locality]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보편성 () [ 普遍性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글로벌 [global]

제주문학의 글로컬리티, 그 미적 정치성 ― 제주어의 구술성과 문자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Jeju Literature's Glocality, Its Aesthetic Politics : focus on interactions between the orality of jeju and the literacy of text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김석희 소설 「땅울림」에 나타난 독립적 자치주의

Autonomy in Kim Suk Hee's Novel, Rumbling Earth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