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동원체제하 생활개선캠페인과 조선인의 일상 식민도시 인천의 사회적 공간성과 관련하여
Campaig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Korean People’s Ordinary Life in a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In reference to the social and spatial feature of the city of Inch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전시체제기 지역사회의 기념(일)의례와 동원의 일상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Ceremonies and Daily Life of Mobilization in Communities during the War ― focused on Incheon Area ―
사림 |
40 |
2011 |
역사학
근대초기 재담과 로컬리티의 문제
The Locality and the Jokes of Early 20th Century Korea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 연구
A Study on the Duplicity of Colonial Modern Times in the Novels of Lee Sun-hee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지구화 과정 속의 타자와 그들의 공간
Die Fremden im Globalisierungsprozess und ihr Raum
코기토 |
68 |
2010 |
기타인문학
전지구화 과정 속의 타자와 그들의 공간
Die Fremden im Globalisierungsprozess und ihr Raum
코기토 |
68 |
|
2010 |
기타인문학
<보더타운>: 지구화와 로컬화의 현장
Bordertown: The Locu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보더타운>: 지구화와 로컬화의 현장
Bordertown: The Locu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박영희의 번역희곡과 ‘네이션=스테이트’의 기획
The Translated Plays by Park Young-hee And the Nation-State Project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영희의 번역희곡과 ‘네이션=스테이트’의 기획
The Translated Plays by Park Young-hee And the Nation-State Project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역방송 연구의 경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0년부터 201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Local Broadcasting
언론과학연구 |
11 |
2 |
2011 |
신문방송학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A Study on the Trans-migration of Korean-Chinese and the Change of Locality: The Case of the Chinese Food Culture Street in Jayang Dong, Seoul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5 |
2 |
2012 |
지리학
호남춤의 예맥, 전통춤의 전승에 관한 논의 – 한진옥과 이매방을 통해서
Study on the Legacy of Traditional Honam Choreography- Via Han Jin-ok and Lee Mae-bang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고향의 발견과 서울/지방의 (탈)구축
The Discovery of a Hometown and the (De)Construction of Seoul/the Local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환경색채의 변화를 통해 본 마을 이미지: 부산시 사하구 감천2동 태극마을을 중심으로
Village Image through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Color: Focusing on Taegeuk Village in Saha-gu, Busan
인문콘텐츠 |
22 |
2011 |
기타인문학
국민국가 형성기 지역 축제의 역할과 변화 - 쾰른카니발을 중심으로
Die Rolle des Kölner Karnevals bei der Bildung des Nationalstaates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국민국가 형성기 지역 축제의 역할과 변화 - 쾰른카니발을 중심으로
Die Rolle des Kölner Karnevals bei der Bildung des Nationalstaates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범죄’를 통해 본 조선후기 왜관 주변 지역민의 일상과 일탈
Local People's Everyday Lives and Deviation in Terms of ‘Crimes' around Waegw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기획 주제의 발굴과 연구 영역의 확대: 중국 근대사 연구
Excavating Special Topics and Expanding Research Areas: Modern Chinese Histor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중국․대만 영화의 공동체 서사윤리 - 세계화와 로컬리티의 문제를 중심으로
The Community Narrative Ethics of China․Taiwan Film- concentrate on Globalization and Locality -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로컬리티의 연구동향과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
The Tendency of Locality Study and the New Movement of Humanity Study
한국학논집 |
42 |
2011 |
기타인문학
제주에서 철학하기 試論-로컬리티 담론과 제주학 연구 현황 검토를 중심으로
Current View of Studying Philosophy in Jeju -Centering on the Review of Locality Discussion and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tudying Jeju Study
탐라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박인환 시의 장소와 심상지리
A Study on the Place and Imaginative Geography in Park In-whan's Poems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 - 『나마스테』와 『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Narrative for Migration and Locality - Representaion of Migration in Namaste and Goodbye, Circus -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 - 『나마스테』와 『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Narrative for Migration and Locality - Representaion of Migration in Namaste and Goodbye, Circus -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의 로컬리티와 글로컬리티
Locality and Glocality of Mondragon Cooperative Group in Spain
역사학연구 |
39 |
2010 |
역사학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의 로컬리티와 글로컬리티
Locality and Glocality of Mondragon Cooperative Group in Spain
역사학연구 |
|
39 |
2010 |
역사학
관광의 경로와 로컬리티- 부산관광담론을 중심으로 -
The Route of the Tourism and Locality - Focused on Busan Tourism Discussion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관광의 경로와 로컬리티- 부산관광담론을 중심으로 -
The Route of the Tourism and Locality - Focused on Busan Tourism Discussion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Refugees of Korean War and Locality of Gukje Market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중화주의적 인식 경계, 로컬리티와 타자 − 도통론적 대상 인식에 대한 실학적 전환을 중심으로 −
Localities, the Others and Marginal Areas under the Recognition of China-centrism: Traditional Centrism of Tao-identity to Realistic Recognition of Objects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중화주의적 인식 경계, 로컬리티와 타자 − 도통론적 대상 인식에 대한 실학적 전환을 중심으로 −
Localities, the Others and Marginal Areas under the Recognition of China-centrism: Traditional Centrism of Tao-identity to Realistic Recognition of Objects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과제
The Significance of Locality Studies and its Task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 연구의 의의와 과제
The Significance of Locality Studies and its Task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자본주의생산체제의 변화와 공간의 편성 ―일제 말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The Change of Capitalist Production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Space: Focusing on the Incheon region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한국근현대사연구 |
53 |
2010 |
역사학
자본주의생산체제의 변화와 공간의 편성 ―일제 말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The Change of Capitalist Production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Space: Focusing on the Incheon region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한국근현대사연구 |
|
53 |
2010 |
역사학
이기영 소설에 나타난 만주 로컬리티
A Study on the Locality of Lee Ki Young's Novels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호남권 광포전설의 전승양상과 로컬리티
Honam legend and locality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대안적 공공공간으로서의 로컬의 전망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Local Space as a Alternative Public Space
인문사회과학연구 |
26 |
2010 |
학제간연구
대안적 공공공간으로서의 로컬의 전망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Local Space as a Alternative Public Space
인문사회과학연구 |
|
26 |
2010 |
학제간연구
로컬리티와 1954년, 대구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A Daegu Boy's Geopolitical Imagination in 1954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이성선 시 연구 - 지역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e Seong-seon’s poems - Focused on the Aspect of Locality -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북한전설의 존재양상과 로컬리티 —주체사상 변개 이전 ‘지역전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Distinctiveness and Locality in the North Korean 'Regional Legend'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파주 관광경로의 전환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A Transition of Tour Paths in Paju City and the Reorganization of Localities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로컬리티의 재구성 : 조선/문학/전집의 사상
Reconstruction of Locality: The Thought of ‘Joseon/ Literature/Antholog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로컬리티
The Locality of Baek Seok'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가 중심화의 표상, ‘국민교육헌장’의 은유 분석
Analysis of Metaphor in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Representaion of National Centralization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국가 중심화의 표상, ‘국민교육헌장’의 은유 분석
Analysis of Metaphor in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Representaion of National Centralization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하야리아부대 주변 마을 주민들의 역사적 경험과 로컬리티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Locality of the Villagers around Kamp Hialeah
지역과 역사 |
28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한국근대소설의 일본어 번역 -김동인의 「배따라기」와 「감자」를 중심으로-
日帝強占期韓国近代小説の日本語翻訳 ―金東仁の「ぺタラギ」「馬鈴薯」を中心に―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한반도 신탁통치 문제의 로컬리티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사회를 중심으로-
Locality of the Issue with Trusteeship of Korean Peninsula -In Case of Korean Society in Japan soon after the War-end-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0 |
2012 |
역사학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Development of Public Art and Regeneration of Local Space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Development of Public Art and Regeneration of Local Space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인문학의 만남
Meeting of the Humanities and Locality ― Review Statement on "Locality and Humanities"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세계체제 분석, 탈근대론, ‘로컬리티의 인문학’
World-System Analysis, Postmodernism, and Localitology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세계체제 분석, 탈근대론, ‘로컬리티의 인문학’
World-System Analysis, Postmodernism, and Localitology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공공성과 로컬리티의 재구성- 공적영역으로서 주민도서관을 중심으로 -
Die Öffentlichkeit und die Rekonstruktion der Locality - im Mittelpunkt der Bewohner-Bibliothek als des öffentlichen Raums -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
움직이는 중심들, 가능성과 선택으로서의 로컬리티(locality) : 한반도 서북 지역의 민족주의 문화운동을 사례로
Shifting Centers: Locality as Possibility and Choice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부평 로컬리티와 이주민-1945년∼1960년대를 중심으로-
Bupyeong Locality and Migrant -Focusing on the Period of 1945∼1960’s-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부평 로컬리티와 이주민-1945년∼1960년대를 중심으로-
Bupyeong Locality and Migrant -Focusing on the Period of 1945∼1960’s-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로컬리티 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논쟁
The Methodological Debates on Locality Studies
국토지리학회지 |
44 |
4 |
2010 |
지리학
로컬리티 연구에 관한 방법론적 논쟁
The Methodological Debates on Locality Studies
국토지리학회지 |
44 |
4 |
2010 |
지리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낙원의식과 로컬리티 - 「이어도」, 『당신들의 천국』,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adise-cognition and Locality in Lee Cheong-Jun' novels -Focused on 「I-eo-do(이어도)」, 『Yours' Paradise(당신들의 천국)』 and 『An Island Swallowed Myths(신화를 삼킨 섬)』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낙원의식과 로컬리티 - 「이어도」, 『당신들의 천국』,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adise-cognition and Locality in Lee Cheong-Jun' novels -Focused on 「I-eo-do(이어도)」, 『Yours' Paradise(당신들의 천국)』 and 『An Island Swallowed Myths(신화를 삼킨 섬)』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도하는 원폭도시 나가사키 로컬리티의 다의성 생성 고찰
A Study on Locality of Praying Atomic Bomb City, Nagasaki
일본어문학 |
54 |
2011 |
일본어와문학
로컬리티와 타자
Locality and Other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로컬리티와 타자
Locality and Other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일제 말기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고향 표상의 변전(變轉)
The Change of Hometown Representation Shown in Novels of Hyo-seok Yi: Based on the Lat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지방주의와 향토 —金鍾漢에 기대어—
New Localism and a Home-land - Rely on Kim Jong-han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로컬리티의 포섭, 갈등, 조화에 관한 존재론적 접근 − 진웨린의 보편과 특수 논리를 중심으로 −
An ontological approach to the inclusion, conflicts and harmonious existence of localities-focusing on universality and locality of Jin Yue-lin's logic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