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로컬리티

연구분야 : B160206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도시지리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4181

한자 :
영어 : translocality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초국가적 네트워크 () [ 超國家的--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교육 이주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초국가주의 () [ 超國家主義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로컬리티 [locality]

한국인의 교육이주와 트랜스로컬 주체성: 미국 패어팩스 카운티를 사례로

Korean Educational Migration and Translocal Subjectivities into Fairfax County, USA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5 | 1 | 2012 | 지리학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Youth in the Street and Landscape - Taiwanese Youth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Hou Hsiao-hsien’s Films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Youth in the Street and Landscape - Taiwanese Youth in the Industrial Society of Hou Hsiao-hsien’s Films

사이間SAI | | 9 | 2010 | 기타국문학

대학로 ‘리틀마닐라’ 읽기: 초국가적 공간의 성격 규명을 위한 탐색

Reading ‘Little Manila’ along Daehangno: Explo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 Spac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대학로 ‘리틀마닐라’ 읽기: 초국가적 공간의 성격 규명을 위한 탐색

Reading ‘Little Manila’ along Daehangno: Explo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national Space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