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디바이드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4695

한자 :
영어 : Digital Divide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정보 격차 () [ 情報格差 ]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Smartphone, Communication Gap,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derating Role of Smartphone Use i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Smartphone, Communication Gap,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derating Role of Smartphone Use i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 자본으로써의 서비스 디자인 필요성 -노년층 인터넷 사용과 소외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Service Design as Social Capital for the Class of Digital Divide - focused on the seniors' using the internet and their alienation from the internet -

조형미디어학 | 14 | 4 | 2011 | 기타미술

Past and Future of the Digital Divide: A Bibliometric Analysis and Review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연구경향 분석

정보화정책 | 18 | 4 | 2011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