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격차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격차/차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932

STNet ID : 2000209

한자 : 情報格差
영어 : Digital Divide

c03-02 격차/차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접근성 [ 接近性 ]

S:동의

UF (비우선어)

 

 

정보 불균형 [ 情報 不均衡 ]

UF (비우선어)

 

 

정보 소외 [ 情報疏外 ]

UF (비우선어)

 

 

정보화 격차 [ 情報化隔差 ]

UF (비우선어)

 

 

디지털 디바이드 [Digital Divide]

UF (비우선어)

 

 

정보 불평등 [ 情報不平等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격차 [ 隔差 ]

isKindOf (상위 유형)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기술 위험 [ 技術 危險 ]

isKindOf (상위 유형)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불균형 [ 不均衡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사회적 위험 () [ 社會的危險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정보 빈민층 [ 情報貧民層 ]

hasIssue (이슈/주제)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정보불평등 해소 () [ 情報不平等解消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정보화 사회 [ 情報化社會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정보 문화 [ 情報 文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디지털 리터러시 () [Digital Literacy]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디지털 격차 [ --格差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정보 전달 구조 [ 情報傳達構造 ]

RT (관련어)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소득 격차 [ 所得格差 ]

RT (관련어)

 

x03-06-03 참여/중재 참여/중재

정보 격차 해소 [ 情報隔差解消 ]

RT (관련어)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정보 격차 구조 [ 情報隔差構造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발행공시 [ 發行公示 ]

RT (관련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정보 () [ 情報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ICT 리터러시

R2:기능적

hasSolution (해결책)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정보격차해소모형 [ 情報隔差解消模型 ]

소비자정보 분야 연구의 종합적 고찰: 2000-2010, and beyond

Consumer and Information: A Critical Review of What We Learned from 2000 to 2010

소비자학연구 | 21 | 2 | 2010 | 경제학

소비자정보 분야 연구의 종합적 고찰: 2000-2010, and beyond

Consumer and Information: A Critical Review of What We Learned from 2000 to 2010

소비자학연구 | 21 | 2 | 2010 | 경제학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행태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usage pattern research of smartphone and social media user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usage pattern

한국방송학보 | 25 | 4 | 2011 | 신문방송학

정치참여에 대한 인터넷의 차등적 효과: ‘한국인의 삶과 가치변화에 관한 연구’(World Values Survey) 2005년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Unequal Effects of the Internet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 Analysis of the Korean Respondents in the 2005 World Values Survey

평화연구 | 19 | 2 | 2011 | 정치외교학

광대역망 구축에서의 국가의 역할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Eine Betrachtung auf Funktionen des Staates bei der Versorgung mit Breitband

법과정책연구 | 11 | 4 | 2011 | 법학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Proposal of Smart Phone Based Mobile Care Service Model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재활복지 | 14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Proposal of Smart Phone Based Mobile Care Service Model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재활복지 | 14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우리나라 웹 접근성 정책 영향요인 분석 -16개 광역자치단체 패널데이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anel Data on the Web-accessibilit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정보화정책 | 18 | 4 | 2011 | 사회과학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 접근격차, 이용격차, 성과격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in Broadcasting according to Digital Switchover

한국방송학보 | 25 | 3 | 2011 | 신문방송학

이주민여성의 정보 소외

Digital Divide for Women by Cross-Border Marriages

학습과학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이주민여성의 정보 소외

Digital Divide for Women by Cross-Border Marriages

학습과학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Analysis of the Type of Information Access and Information Use of the Youth to the Homepage Providing the Employment Information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Analysis of the Type of Information Access and Information Use of the Youth to the Homepage Providing the Employment Information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보편적 서비스의 사회보장법적 의의

The Concept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n Social Security Law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A Survey of Educ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Utilizing IPTV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특수교육에 IPTV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3 | 2012 | 교육학

정보화마을사업의 의미와 재평가: 지역정보네트워크사업과 비교적 관점에서

The Information Network Village and Community Networks: Comparative Perspective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14 | 4 | 2011 | 사회과학정보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Smartphone, Communication Gap,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derating Role of Smartphone Use i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Smartphone, Communication Gap,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derating Role of Smartphone Use i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Participation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 자본으로써의 서비스 디자인 필요성 -노년층 인터넷 사용과 소외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Service Design as Social Capital for the Class of Digital Divide - focused on the seniors' using the internet and their alienation from the internet -

조형미디어학 | 14 | 4 | 2011 | 기타미술

도시판자촌지역 주민의 정보통신기술 이용 및 비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서울 개미마을, 녹천마을, 백사마을 중심으로-

Use and non-use of ICTs: the case of three urban ghettos in Seoul Metropolitan City

정보화정책 | 19 | 2 | 2012 | 사회과학

성,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터넷 이용: 2004년과 2009년 생활시간조사자료의 활용

Gender, Social Economic Status and Internet Use: Based on Time Diary Data

한국인구학 | 34 | 3 | 2011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디지털TV 전환에 따른 취약계층 지원정책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지원대상과 지원기술에 대한 비판적 접근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US on the Subsidy Policies for Low Income Group as Digital TV Transition : A Critical Approach on the Target and Technology

방송통신연구 | 73 | 2011 | 신문방송학

고령화, 정보격차, 경제성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Aging, Digital Divide, and Economic Growth

정보사회와 미디어 | 21 | 2011 | 정보/과학기술사회학

빈곤은 인터넷 활용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빈곤이 부모의 지도감독과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학교부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verty on school mal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parental monitoring and types of internet use

사회복지연구 | 41 | 3 | 2010 | 사회복지학

빈곤은 인터넷 활용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빈곤이 부모의 지도감독과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학교부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verty on school mal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parental monitoring and types of internet use

사회복지연구 | 41 | 3 | 2010 | 사회복지학

노인 휴대폰활용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Mobile Phon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평생교육 · HRD연구 | 7 | 2 | 2011 | 교육학

고령자의 외로움 완화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14 | 2 | 2011 | 사회과학정보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The Digital Divide among Internet Users: An Analysis of Digital Access, Literacy, and Participation

언론정보연구 | 48 | 1 | 2011 | 신문방송학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리터러시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in the Information Literacy of Marriage Migrant Women

평화학연구 | 13 | 3 | 2012 | 정치외교학

청각장애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정보격차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문해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on the Occurrence of Information Gap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iteracy-

재활복지 | 15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전자투표와 정보격차: 디지털 활용성 격차가 전자투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lectronic Voting and Digital Divid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n Attitudes toward Electronic Voting

한국정치학회보 | 45 | 2 | 2011 | 정치외교학

인천지역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안

A Study on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Development Strategy of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디지털융복합연구 | 8 | 3 | 2010 | 기타과학기술학

인천지역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 및 발전방안

A Study on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Development Strategy of Small and Midium Enterprises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디지털융복합연구 | 8 | 3 | 2010 | 기타과학기술학

고령층의 모바일 격차 - 휴대전화의 확산, 그러나 제한된 채택

Mobile Phone Adoption and Acceptance by Elderly Users -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Divide

한국사회학 | 44 | 5 | 2010 | 사회학

고령층의 모바일 격차 - 휴대전화의 확산, 그러나 제한된 채택

Mobile Phone Adoption and Acceptance by Elderly Users - Implications for the Digital Divide

한국사회학 | 44 | 5 | 2010 | 사회학

Past and Future of the Digital Divide: A Bibliometric Analysis and Review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연구경향 분석

정보화정책 | 18 | 4 | 2011 | 사회과학

북한의 정보화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formatization System in North Korea

정보화정책 | 18 | 3 | 2011 | 사회과학

지자체 공간정보화 수준분석 및 격차 완화방안

An Analysis on Spatial Informatization Level and Means of Digital Divide Mitig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3 | 3 | 2010 | 지리학

지자체 공간정보화 수준분석 및 격차 완화방안

An Analysis on Spatial Informatization Level and Means of Digital Divide Mitig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3 | 3 | 2010 | 지리학

정보격차해소 인식제고를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개발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olving the Recognition of Digital Divi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중등교육연구 | 58 | 1 | 2010 | 교육학

정보격차해소 인식제고를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개발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olving the Recognition of Digital Divi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중등교육연구 | 58 | 1 | 2010 | 교육학

인터넷, 교육열망,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Internet, Educational Aspiration, and Family's Social-Economic Status

조사연구 | 12 | 3 | 2011 | 사회학

Past and Future of the Digital Divide: A Bibliometric Analysis and Review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연구경향 분석

정보화정책 | 18 | 4 | 2011 | 사회과학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태 : 생활시간조사의 활용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s' internet use pattern: Based on time diary data

한국사회학 | 45 | 5 | 2011 | 사회학

장애인에게 정보격차는 존재하는가? - 연령과 학력의 조절효과의 검증 -

Does Digital Divide Exist in Disabled Consumer? -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for Age and Education Level -

소비자학연구 | 22 | 2 | 2011 |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