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무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G110000 예술체육 > 무용

클래스 :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5966

STNet ID : 9002059

한자 : 佾舞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문묘일무 [ 文廟佾舞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종묘 (사적 제125호) [ 宗廟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 廟 ]

朝鮮朝 鄕樂呈才의 性理學的 談論 − 宗廟佾舞와 五方處容舞를 中心으로 −

A Neo-Confucian Discourse on Joseon Hyangakjeongjae (royal feast dance and music) - Focused on Jongmyoilmu (Royal Shrine Dance) and Obangcheoyongmu (Five-Direction Cheoyong Dance)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원구제천의례의 춤에 관한 연구

Study on Dances of the Wongu Rite in Goryeo Dynasty

무용역사기록학 | 25 | 2012 | 무용

역사적 문헌으로서의 동바무보와 시용무보 가치연구

Research for value of ‘dongbamubo’ and ‘shiyongmubo’ as a historical document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역사적 문헌으로서의 동바무보와 시용무보 가치연구

Research for value of ‘dongbamubo’ and ‘shiyongmubo’ as a historical document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한⋅중 문묘 석전일무의 무위변천과 그 사상

Wu-Wei of Dance at Korean⋅Chinese Munmyoseokjeon(Ceremonies at Confucian Shrines) and Its Thoughts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묘일무 춤사위의 역학적 원리와 구조

文廟佾舞 舞姿的 易學原理和構造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문묘일무 춤사위의 역학적 원리와 구조

文廟佾舞 舞姿的 易學原理和構造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