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6

한자 : 宗廟
영어 : Jongmyo Shrine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정전 (正殿)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종로구 (鍾路區)

소장처(자)

대한민국 (大韓民國)

관리자(처)

종묘 (宗廟)

지정호수_t

사적 제125호

지정일자_t

1963.01.18

주소_t

서울 종로구 종로 157, 종묘 (훈정동)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묘당 () [ 廟堂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 [ --世界遺産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수복방 [ 守僕房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참도 [ 參道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재실 (제사) [ 齋室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종묘 영녕전 [ 永寧殿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종묘 정전 (국보 제227호) [ 宗廟正殿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추향대제 () [ 秋享大祭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종묘 공원 [ 宗廟公園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부묘 [ 祔廟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종묘제례악 () [ 宗廟祭禮樂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사직단 [ 社稷壇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일무 [ 佾舞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조선 궁궐 [ 朝鮮宮闕 ]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정비와 운영

A Study of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in early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초기 왕릉제사의 정비와 운영

A Study of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in early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高句丽王室祭祖之变迁

한국고대사연구 | 60 | 2010 | 한국고대사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高句丽王室祭祖之变迁

한국고대사연구 | | 60 | 2010 | 한국고대사

역사문화도시와 경제중심도시 ; 두 마리 토끼는 잡지 못한다.

A Economic Central Cit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 He who catches two hares catches neither -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의 선포와 종묘 제도의 변화 -七廟의 구성과 황제 추존, 신주 改題를 중심으로-

The Foundation of the Daehan Empire, and the Changes the National Shrine went through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추상존호의(追上尊號儀)의 의식절차와 음악 - 1784년(정조 8) 『존호도감의궤(尊號都監儀軌)』(奎13297)를 중심으로 -

Rite Procedures and Music in the Ceremony for Offering Eulogistic Posthumous Titles - 1784(Jeongjo’s eighth year of reign) 『Eulogic Title Office Records』 (Kyu 13297) -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The Bu’myo ritual at the Joseon National Shrine, and its Nature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창건과 수리, 조선시대 종묘의 건축적 고찰

Its foundation and transition ; Architectural review on Jongmyo of Joseon Dynasty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통일신라의 종묘 건축과 종묘제의 변화 -계림 북쪽의 대형건물 유구와 관련하여-

The Building of Royal Shrine in the Shilla Dynasty and the Transition of its Ritual Institution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