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악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G020301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 한국음악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022

한자 : 宗廟祭禮樂

Y04 기념물명(문화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진찬곡 [ 進饌曲 ]

UF (비우선어)

 

 

종묘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의식 음악 () [ 意識音樂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01호

 

국가무형문화재 (문화재보호법) [ 國家無形文化財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정대업 [ 定大業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문무 [ 文舞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성진 () [ 金星振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종묘 (사적 제125호) [ 宗廟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세조실록 [ 世祖實錄 ]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희문 [ 熙文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강보 [ 降寶 ]

고려 청산별곡(靑山別曲)의 현대적 습용(襲用)

Heredity of Chungsanpyulgok(靑山別曲) of Koryo Music

단군학연구 | 26 | 26 | 2012 | 기타역사학

역사적 문헌으로서의 동바무보와 시용무보 가치연구

Research for value of ‘dongbamubo’ and ‘shiyongmubo’ as a historical document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hanges of Takjeong, Seonwi, Sinjeong, Jeongse in Jongmyo Jeryeak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hanges of Takjeong, Seonwi, Sinjeong, Jeongse in Jongmyo Jeryeak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Comprehensive Study on Botaepyung 保太平 and Jeongdae-eop 定大業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보태평과 정대업의 종합적인 고찰

Comprehensive Study on Botaepyung 保太平 and Jeongdae-eop 定大業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종묘제례악 보태평의 연극학적 접근

Directing Techniques and The Aesthetics of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현행 종묘제례악의 타악기 타점(打點) 주기(週期)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Percussion Cycle in Jongmyojeryeak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

Aesthetics melodic thought research Jongmyojeryeak

동양고전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