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혼

연구분야 :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8154

한자 : 招魂
영어 : Cho-hon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고복 의식 () [ 皐復儀式 ]

샤머니즘에 관한 성경적 증거

Biblical Evidence of Shamanism

복음과 선교 | 13 | 1 | 2010 | 선교신학

샤머니즘에 관한 성경적 증거

Biblical Evidence of Shamanism

복음과 선교 | 13 | 1 | 2010 | 선교신학

茶山 事天學의 外延과 實踐性

Tasan's Discourse on the Extension and Practicality of Shitian-Xue(事天學)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김소월 시의 서도성과 근대성-「진달래꽃」 「초혼」과 서도민요 ≪영변가≫ ≪제전≫의 비교 분석-

Kim So-wol' poetry and Seodo folk song - Concentrated on 「Chindalrae (Azalea진달래꽃)」 and 「Chohon (Invocation초혼)」 -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상례 중 복(復)과 복의(復衣)의 조선적(朝鮮的) 변용(變容)

The Joseon-style Acculturation of Bok and Bokui in Traditional Funerals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전통상례 중 복(復)과 복의(復衣)의 조선적(朝鮮的) 변용(變容)

The Joseon-style Acculturation of Bok and Bokui in Traditional Funerals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김소월의 「초혼(招魂)」에 나타난 감정 분출의 기제

The mechanism of Emotion Spurt shown in Kim So-woal's Cho-hon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