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

연구분야 : B0205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863

한자 : 領土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국토 [ 國土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영역 [ 領域 ]

N1:종류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일본 영토 [ 日本領土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북방 영토 [ 北方領土 ]

hasKind (종류)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중국 영토 [ 中國領土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고유 영토 [ 固有領土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국경 () [ 國境 ]

RT (관련어)

 

 

영토 팽창 [ 領土膨脹 ]

RT (관련어)

 

 

부속 도서 [ 附屬島嶼 ]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국가성 전환 [ 國家性轉換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연안 항로 [ 沿岸航路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승역국 [ 承役國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영토 고권 [ 領土高權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직선기선 [ 直線基線 ]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대일점령통치의 구조와 명령체계에서 본 SCAPIN 제677호의 의미

Understanding SCAPIN No. 677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Order Procedure of Allied Powers

인문사회과학연구 | 29 | 2010 | 학제간연구

대일점령통치의 구조와 명령체계에서 본 SCAPIN 제677호의 의미

Understanding SCAPIN No. 677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Order Procedure of Allied Powers

인문사회과학연구 | | 29 | 2010 | 학제간연구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활동과 영토·영해 인식 - 울릉도·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

The Activities and Territorial Understanding of Kim Ok Gyun: The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

동북아역사논총 | 36 | 2012 | 역사학

1920년대 기행문의 지정학적 성격과 문화민족주의 기획 -『개벽』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in the 1920s and Planning of Cultural Nationalism - With Focus on 『Gaebyeok』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행문의 지정학적 성격과 문화민족주의 기획 -『개벽』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in the 1920s and Planning of Cultural Nationalism - With Focus on 『Gaebyeok』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20 | 2010 | 역사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 20 | 2010 | 역사학

영토변증설(領土辨證說)

Zur Dialektik des Staatsgebietes

세계헌법연구 | 17 | 2 | 2011 | 법학

다문화사회와 사회적 기본권 - 헌법적 접근을 위한 시론 -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l Liberties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다문화사회와 사회적 기본권 - 헌법적 접근을 위한 시론 -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l Liberties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근대초기 지리학의 수용과 국토여행의 논리 -『소년』을 중심으로-

The Early Modern ages Adoption of Geography and Logic of National travel - Focus in “Sooyeon” -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의 지도부 교체와 동아시아 영토. 역사 문제

China’s Leadership Change and Territory and History Problems in East Asia

중소연구 | 36 | 2 | 2012 | 사회과학

근대한일교류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원

Research about the Original Land Title of Susima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modern age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근대한일교류 분석을 통한 대마도 영토권원

Research about the Original Land Title of Susima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 of the modern age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신채호의 만주인식과 그 변모

Shin Chae Ho's Perception of Manju and its Transformatio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3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현대소설과 아시아의 발견

Korean Modern Novel and the discovery of Asia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현대소설과 아시아의 발견

Korean Modern Novel and the discovery of Asia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지도를 통해 본 한・중・일 경계인식의 변화

The study of changes in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of the Korea, China, Japan, to notice also seen through old maps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麗末鮮初 朝・明간 女眞 귀속 경쟁과 그 意義

The competition of Where Jurchen Has to Belong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from the end of Koryo to the early of Chosun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간도에 관한 선행 연구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Reports on Gando

대한부동산학회지 | 30 | 1 | 2012 |

주권–영토–경계: 역사의 공간적 차원

Sovereignty – Territory – Frontier: The spatial aspect of history

사림 | 35 | 2010 | 역사학

주권–영토–경계: 역사의 공간적 차원

Sovereignty – Territory – Frontier: The spatial aspect of history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