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

연구분야 : B160202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정치지리

클래스 : 인프라/구조/범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230

STNet ID : 9001936

한자 : 領域
독일어 : staatsgebiet
프랑스어 : territoire
영어 : territory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중간 영역 [ 中間領域 ]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경제적 영역 [ 經濟的領域 ]

hasKind (종류)

 

 

심리 영역 [ 心理領域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공적 영역 [ 公的領域 ]

hasKind (종류)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공론 영역 [ 公論領域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영공 [ 領空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영해 [ 領海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영토 () [ 領土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영역 판단 [ 領域判斷 ]

대장경 전산화 현황과 전망

The research about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Buddhist Tripitaka computerization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1 | 2011 | 응용불교학

<단군신화(檀君神話)> 영역자(英譯者)의 시각(視角) 일고찰

A Study on the Translator’s Viewpoint of “Myth of Dangun” in English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古代日本語における美的語彙研究の現状とその活用

Japanese Aesthetic Words: Key Contents and Their Use

외국학연구 | 14 | 1 | 2010 | 기타인문학

古代日本語における美的語彙研究の現状とその活用

Japanese Aesthetic Words: Key Contents and Their Use

외국학연구 | 14 | 1 | 2010 | 기타인문학

기술 교과서 평가를 위한 준거 영역과 요소의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especially about Domains and Elements for Evaluating Technology Textbooks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0 | 1 | 2010 | 교육학

기술 교과서 평가를 위한 준거 영역과 요소의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especially about Domains and Elements for Evaluating Technology Textbooks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0 | 1 | 2010 | 교육학

문법과 문학의 통합과 텍스트 활용 양상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Grammar domain in Middle School Textbook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Place Marketing and Territorialization of Place: A Critique of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3 | 2010 | 지리학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Place Marketing and Territorialization of Place: A Critique of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3 | 2010 | 지리학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에서 ‘문화’ 담론의 지형

The Map of Discourse of ‘Culture’ in Post-socialist China

현대중국연구 | 11 | 2 | 2010 | 중국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에서 ‘문화’ 담론의 지형

The Map of Discourse of ‘Culture’ in Post-socialist China

현대중국연구 | 11 | 2 | 2010 | 중국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erritorial Education of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3 | 2011 | 지리학

인간심리의 영역성 논점 및 그 함의

Domain Issues of Human Psychology and their Implications

교육심리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인간심리의 영역성 논점 및 그 함의

Domain Issues of Human Psychology and their Implications

교육심리연구 | 24 | 2 | 2010 | 교육학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Location of Sites of Balhae Period in Primorye Region and Territorial Problem of North-Eastern Part of Balhae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체육 교과 교수 스타일 문항 개발과 교사 배경변인 및 교과 영역별 선호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ating for area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tyle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체육 교과 교수 스타일 문항 개발과 교사 배경변인 및 교과 영역별 선호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ating for area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tyles

초등교육연구 | 23 | 4 | 2010 | 교육학

초․중학교에서의 민족공동체교육 활성화 방안

A Study on Analysis of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Spirit in Elementary & Middle School Textbook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발전적 전개 방향

Characteristics and Future Prospects of 2011 Revised Curricula for Korean Education

국어교육 | 137 | 2012 | 한국어와문학

‘Artistic creativity’의 개념 정립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Artistic Creativity’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