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음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30

한자 : 口音
영어 : an oral sound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e01-02 음악장르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音) () [ 音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구음보 [ 口音譜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피리 구음 [ --口音 ]

hasInstance (사례)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거문고 구음 [ --口音 ]

hasInstance (사례)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가야금 구음 [ 伽倻琴口音 ]

내림굿의 굿거리 형성 과정과 특징 -광주지역 강신무굿을 중심으로-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utgeori in Naerim Gut(Shamanistic Rite) -Focusing on spiritualistic shamans in Gwangju area-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내림굿의 굿거리 형성 과정과 특징 -광주지역 강신무굿을 중심으로-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utgeori in Naerim Gut(Shamanistic Rite) -Focusing on spiritualistic shamans in Gwangju area-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언어 활용 국악 교수법의 고찰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of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y Using Language

국악교육연구 | 6 | 2 | 2012 | 예술교육

구음을 활용한 대취타 장단 지도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Taechwita Changdan for using kuum, oral sound

국악교육 | 33 | 33 | 2012 | 한국음악이론/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