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音)

연구분야 : A120101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국어학 > 음성/음운론(중국어학)
G020000 예술체육 > 음악학

클래스 : 음악장르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4

한자 : 音
영어 : sound

e01-02 음악장르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반치음 [ 半齒音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구음 [ 口音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자음 () [ 子音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자모 [ 字母 ]

명사화절 「こと・の」와 ‘것・기・음’

Nominalization of Japanese 'koto․・no' & Nominalization of Korean 'kus・ki・m'

일본어문학 | 57 | 2012 | 일본어와문학

4분과에서 본 17세기 원형세계상: 21세기 융합학문 모델

On the Archtype World View of 17 Century regards to Study of Quadrivium - For a Model of the Unification of Science -

과학철학 | 14 | 1 | 2011 | 철학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The Comparative Study about polyphone of Korean and Chinese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The Comparative Study about polyphone of Korean and Chinese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말타고 떠난 여자」: 음양합일의 황홀경

“The Woman Who Rode Away”: The Ecstasy of Oneness in Which Dark(Yin) and Light(Yang) Encounter

D.H. 로렌스 연구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말타고 떠난 여자」: 음양합일의 황홀경

“The Woman Who Rode Away”: The Ecstasy of Oneness in Which Dark(Yin) and Light(Yang) Encounter

D.H. 로렌스 연구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향찰 ‘制, 苐, 底’ 해독의 변증

Demonstration of the Decoding to Three Hyangchal(制, 苐, 底)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감탄사 유래 담화표지의 의미기능 연구

On the Functional Meaning of the Discourse Marker Derived from Exclamations.

언어과학연구 | 61 | 2012 | 언어학

사이렌의 유혹 - 폭력의 소리, 소리의 폭력

Die Verführung der Sirenen - Der Klang der Gewalt und die Gewalt des Klangs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