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식민 박물관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대서양 노예무역 폐지 200주년 기념전을 중심으로
Postcolonial Museums and the Reconfiguration of ‘Multicultural’ Identity: 2007 Bicentenary Exhibitions of the Abolition of Transatlantic Slave Trade
역사비평 |
95 |
2011 |
역사학
정치우위 시대의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주제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Choseonjok Novels during the Politics dominant Period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제국 이후의 문명화 사명―파리 브랑리 미술관의 경우
Civilizing Mission after Empire: The Quai Branly Museum
역사비평 |
95 |
2011 |
역사학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in Korea
한국인구학 |
33 |
3 |
2010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in Korea
한국인구학 |
33 |
3 |
2010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다문화 담론의 확산과 ‘국민’의 경계에 대한 인식 변화: 의식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Multicultural Discourse and Changing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in Korea
재외한인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중국 조선족 정체성의 결정요인: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Role of Socio-Demographic Attributes
동북아연구 |
26 |
1 |
2011 |
국제관계/협력
건국절 제정의 상징성과 국민통합
Study on symbolic meaning Enactment of the National Day and National unity of Republic of Korea
한국보훈논총 |
10 |
4 |
2011 |
기타사회학
중앙아시아 국가의 탈소비에트 국민정체성: 동북아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Post-Soviet National Identity of Central Asia: Based on comparisons with national identity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중소연구 |
35 |
1 |
2011 |
사회과학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South Korean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통일문제연구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Korean National Identit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1 |
2011 |
기타인문학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함의 -
Adolescents?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Impli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Society -
사회과교육 |
51 |
1 |
2012 |
교육학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한·중·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s Immigrants - A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국제지역연구 |
15 |
2 |
2011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