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연구분야 : A049900 인문학 > 종교학 > 기타종교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20

한자 : 國葬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인산 [ 因山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장례 [ 葬禮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능행 [ 陵幸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장도감 [ 國葬都監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흉례 [ 凶禮 ]

日記 자료를 통해 본 16세기 후반 守令의 管外 활동 -江華都護府使 全舜弼의 사례 연구-

County Magistrates' Outside-the-Jurisdiction Business Seen in Diary Materials : A Case Study of Jeon Soon-Pil, Magistrate of Ganghwa County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日記 자료를 통해 본 16세기 후반 守令의 管外 활동 -江華都護府使 全舜弼의 사례 연구-

County Magistrates' Outside-the-Jurisdiction Business Seen in Diary Materials : A Case Study of Jeon Soon-Pil, Magistrate of Ganghwa County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전통상례 중 복(復)과 복의(復衣)의 조선적(朝鮮的) 변용(變容)

The Joseon-style Acculturation of Bok and Bokui in Traditional Funerals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전통상례 중 복(復)과 복의(復衣)의 조선적(朝鮮的) 변용(變容)

The Joseon-style Acculturation of Bok and Bokui in Traditional Funerals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한ㆍ일 언론 자료를 통한 고종독살설 검토

Study of the hypothesis of poisoning King Gojong based o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pres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朝鮮後期發靷班次の變化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조선후기 發靷班次의 변화와 의미

朝鮮後期發靷班次の變化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