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153

한자 : 葬禮

c03-03 문화/생활

원인_o

죽음

결과_o

의식 (儀式)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장례식 [ 葬禮式 ]

UF (비우선어)

 

 

장례 의례 [ 葬禮儀禮 ]

UF (비우선어)

 

 

장사 [ 葬事 ]

UF (비우선어)

 

 

상喪 () [ 喪 ]

UF (비우선어)

 

 

상례 [ 喪禮 ]

UF (비우선어)

 

 

장 [ 葬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관혼상제 () [ 冠婚喪祭 ]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례 [ 家禮 ]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일생 의례 [ 一生儀禮 ]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의례 (행위) [ 儀禮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장묘 문화 [ 長墓文化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육례 () [ 六禮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면례 [ 緬禮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고복 의식 () [ 皐復儀式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입묘 [ 入廟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국장 [ 國葬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입렴 [ 入殮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죽음관 [ --觀 ]

isConceptOf (개념(전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풍속 [ 葬禮風俗 ]

isConceptOf (개념(전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문화 [ 葬禮文化 ]

isConceptOf (개념(전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수혈식 석곽묘 () [ 竪穴式石槨墓 ]

isConceptOf (개념(전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무덤 [ 墳墓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장사택일지 [ 葬事擇日紙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상여소리 [ 喪輿--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장례식장 [ 葬禮式場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과장 [ 過葬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빈소 [ 殯所 ]

RT (관련어)

 

 

장지 () [ 葬地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합장 [ 合葬 ]

hasMethod (방법/기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토장 [ 土葬 ]

hasMethod (방법/기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자연장 [ 自然葬 ]

hasSupplement (보완물)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장례 용품 [ 葬禮用品 ]

isAppliedTo (적용 대상)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성수 [ 聖水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주제자 [ 主祭者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반우 [ 返虞 ]

일본 전통의 불교식 葬禮文化와 그 변화 양상

The traditional funeral culture of Japan by Buddhism and its changing aspects

불교학연구 | 28 | 2011 | 불교학

서사민요 <친정부음 노래>의 서사구조와 향유의식

Narrative Structure And Women's Consciousness In Folk Ballads “A Married Daughter Who Goes For Her Mother's Funeral”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서사민요 <친정부음 노래>의 서사구조와 향유의식

Narrative Structure And Women's Consciousness In Folk Ballads “A Married Daughter Who Goes For Her Mother's Funeral”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가네코 미스즈(金子みすゞ)의 시어(詩語) 일고찰 -쓸쓸함(さびしい)을 중심으로-

金子みすずの作品における詩語一考察 ‘さびしい’に関して

외국학연구 | 19 | 2012 | 기타인문학

불교적 관점에서 본 공론화된 죽음에 대한 의례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

Publicized Death Rites from a Buddhist Viewpoint : Centered on the Death Rite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불교학보 | 54 | 2010 | 기타불교학

불교적 관점에서 본 공론화된 죽음에 대한 의례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

Publicized Death Rites from a Buddhist Viewpoint : Centered on the Death Rite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불교학보 | | 54 | 2010 | 기타불교학

이슬람의 통과의례문화 연구 ― 출생, 결혼, 임종~장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slamic Passage Rites

아시아문화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Background of Sambaso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with Miyal Grandmother-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Background of Sambaso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with Miyal Grandmother-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신화의 탄생

Abraham Lincoln: The Birth of the American Myth

미국사연구 | 33 | 2011 | 역사학

현대 한국사회 전통 상례의 현황과 과제

The State and Challenges of Traditional Mourning Ritual in Present Korean Society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 한국사회 전통 상례의 현황과 과제

The State and Challenges of Traditional Mourning Ritual in Present Korean Society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죽음의 문화정치학:한국의 ‘장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Politics of Death: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Funeral Rites’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죽음의 문화정치학:한국의 ‘장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The Cultural Politics of Death: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Funeral Rites’ in Korea

한국언론학보 | 54 | 5 | 2010 | 신문방송학

장사법(葬事法)의 문제점과 개정방안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s about the Funeral Law Issues and a Suggested Approach of the Revised Bill

법학논총 | 28 | 2012 | 법해석학

농촌마을의 장례조직과 협력양상의 변화: 충남지역 두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Funeral Organization & Cooperative Aspect at Villages in Modern Korea

농촌사회 | 21 | 1 | 2011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