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생 의례

연구분야 : B110300 사회과학 > 인류학 > 상징과의례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1793

STNet ID : 1001814

한자 : 一生儀禮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장례 [ 葬禮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례 () [ 祭禮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혼례 () [ 婚禮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주자가례 () [ 朱子家禮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전통 의례 [ 傳統儀禮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정 의례 [ 家庭儀禮 ]

친영과 반친영의 문화적 含意

Cultural implicative meaning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일생의례 관련 속신의 종류와 기능

Types and Functions of Common Supersitions related to Rites of Passages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時祭 전승의 지속과 변화-충청남북도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transmission of Sije (seasonal ancestor-memorial ceremony)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평택일기’를 통해 본 일생의례와 속신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일생의례 조사의 성과와 비판적 검토-국립문화재연구소 일생의례 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Outcome and critical review of investigation into Rites of Passage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Koreans in Pre-modern Time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한국 일생의례의 성격 규명과 주술성

The Characterization and the Magic of Lifelong Rites in Korea

한국학 | 34 | 1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