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

연구분야 :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A020504 인문학 > 역사학 > 인류학 > 민속학(인류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84

STNet ID : 1000045

한자 : 婚禮
영어 : nuptials
기타 : Wedding
한자 : 혼인의례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혼인 () [ 婚姻 ]

S:동의

UF (비우선어)

 

 

빙례 (혼인) [ 聘禮 ]

UF (비우선어)

 

 

결혼 의례 [ 結婚儀禮 ]

UF (비우선어)

 

 

근례 (혼인) [ 巹禮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일생 의례 [ 一生儀禮 ]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례 [ 家禮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육례 () [ 六禮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관혼상제 () [ 冠婚喪祭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폴란드 전통 혼례 [ --傳統婚禮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신식혼 [ 新式婚 ]

hasKind (종류)

 

 

구식혼 [ 舊式婚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육례 (혼인예법) [ 六禮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계례 [ 筓禮 ]

RT (관련어)

 

Y99 기타 인스턴스명 기타 인스턴스명

전안 [ 奠雁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통례 [ 通禮 ]

RT (관련어)

 

e02-02 패턴 패턴

전통 혼례 () [ 傳統婚禮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초례청 [ 醮禮廳 ]

RT (관련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예단 [ 禮緞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예물 [ 禮物 ]

RT (관련어)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혼인 문화 () [ 婚姻文化 ]

RT (관련어)

 

 

혼수 [ 婚需 ]

RT (관련어)

 

 

혼간 [ 婚簡 ]

RT (관련어)

관련 제도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혼례 문화 [ 婚禮文化 ]

黙齋日記와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의 冠·婚·喪·祭禮

A Study on 16th century’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rituals in Mukjeilgi and Miamilgi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黙齋日記와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의 冠·婚·喪·祭禮

A Study on 16th century’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rituals in Mukjeilgi and Miamilgi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文獻을 통해 본 韓國人의 一生儀禮

The Ceremonies of one's lifetime of Koreans in Pre-modern Time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일생의례와 물질문화-출생의례와 혼례를 중심으로-

Rites of Passage-Focusing on the birth rites and the wedding rites-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혼인 습속의 고유성과 무(巫)의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Traditional marriage and Mudanggut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친영과 반친영의 문화적 含意

Cultural implicative meaning of Chinyeong and Ban-Chinyeong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