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연구분야 : A020106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문화사(역사학)
B110500 사회과학 > 인류학 > 친족및혼인
B130310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민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590

한자 : 婚姻
영어 : marriage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결혼 () [ 結婚 ]

UF (비우선어)

 

 

시집 장가 [ 媤-- 丈家 ]

UF (비우선어)

 

 

백년 가약 [ 百年佳約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이혼 [ 離婚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신분 행위 () [ 身分行爲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연애혼 [ 戀愛婚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중매 결혼 [ 仲媒結婚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재혼 [ 再婚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근친혼 [ 近親婚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내선 결혼 () [ 內鮮結婚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가장 혼인 () [ 假裝婚姻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국제 결혼 [ 國際結婚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률혼 [ 法律婚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독신주의 () [ 獨身主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2-01 감정 감정

결혼 만족 [ 結婚滿足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혼인 무효 () [ 婚姻無效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만혼화 [ 晩婚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결혼 시장 [ 結婚 市場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혼례 () [ 婚禮 ]

resultsIn (산물/결과)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사돈 [ 査頓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친정 () [ 親庭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지참금 [ 持參金 ]

RT (관련어)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인구 사회학적 요인 [ 人口社會學的要因 ]

RT (관련어)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부부 () [ 夫婦 ]

R3:시간적

co-occursWith (동시발생)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협조 의무 [ 協助義務 ]

co-occursWith (동시발생)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정조 의무 [ 貞操義務 ]

co-occursWith (동시발생)

 

a01-04-06 공동체 공동체

가족 () [ 家族 ]

co-occursWith (동시발생)

 

a01-04-06 공동체 공동체

가정 [ 家庭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청혼 [ 請婚 ]

혼인계약에서 정의의 원칙

The Principle of Justice in Marriage Contract

가족법연구 | 25 | 2 | 2011 | 법학

제주 고씨의 옥구 입거와 이후의 거주지 이동

On the Settlement in Og-gu(沃溝) and the Moving to New Residences of Je-ju Go Clan(濟州高氏)

전북사학 | 36 | 2010 | 역사학

제주 고씨의 옥구 입거와 이후의 거주지 이동

On the Settlement in Og-gu(沃溝) and the Moving to New Residences of Je-ju Go Clan(濟州高氏)

전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이사원네 맏딸애기> 노래의 서사적 특징과 현실의식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s of Reality in Folk Ballad "Mr. Lee's first daughter"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전기 棄妻 규제 정책의 영향과 한계

he Policy of Prohibiting males from abandoning their wives, in the early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Its Influences and Problems

사학연구 | 98 | 2010 | 역사학

조선 전기 棄妻 규제 정책의 영향과 한계

he Policy of Prohibiting males from abandoning their wives, in the early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Its Influences and Problems

사학연구 | | 98 | 2010 | 역사학

고려시기 여성의 지위 - 당.송.원과의 비교를 통하여 -

The Female Status of Goryeo through Comparison with that of Tang, Song, and Won Dynasty

지역과 역사 | 28 | 2011 | 역사학

강간죄의 객체에 대한 해석론과 형법정책론- 법률상의 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ife Rape

법학논고 | 32 | 2010 | 법학

강간죄의 객체에 대한 해석론과 형법정책론- 법률상의 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ife Rape

법학논고 | | 32 | 2010 | 법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세 류큐 사족층의 혼인

近世琉球の士族層の婚姻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18~19세기 성해응 집안 여성들의 삶

Women's lives of Sung Haeeung's family in 18th~19th Century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미성년자인 자녀를 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신청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

Whether Rectification of Gender Can Be Allowed for a Transsexual Person Who Has a Minor Child

사법 | 1 | 19 | 2012 | 법정책학

사로국의 지배구조와 갈문왕

Ruling Structure of Saro Chiefdom Seciety and Galmunwang

역사와경계 | 80 | 2011 | 역사학

20세기 전반 중국의 혼인문제를 둘러싼 법과 현실 ― 1950년 「中華人民共和國婚姻法」의 제정과 시행을 중심으로 ―

20世纪上半叶围绕中国婚姻问题的法与现实 ― 以1950年《中华人民共和国婚姻法》的制订和施行为中心 ―

중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1 | 중국현대사

성직자의 독신과 금욕

The Celibacy and Abstinence of the Clergy

가톨릭신학 | 16 | 2010 | 가톨릭신학

성직자의 독신과 금욕

The Celibacy and Abstinence of the Clergy

가톨릭신학 | | 16 | 2010 | 가톨릭신학

명청시기 휘주의 혼인 풍속 연구

明清时期徽州婚姻的民俗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북한이탈주민의 婚姻 및 離婚에 관한 법적 고찰

A legal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s Marriage and Divorce

법학논집 | 15 | 3 | 2011 | 기타법학

가족관계의 계약화에 대하여

The Contractualization of Family Law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가족관계의 계약화에 대하여

The Contractualization of Family Law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혼인의 정치학적 측면에서 본 티베트의 귀족(貴族)사회와 혼인문화

Marriage Culture of Tibetan Noble Families

아태연구 | 19 | 2 | 2012 | 사회과학일반

가장혼인의 법률문제에 대한 고찰

Rechtliche Probleme der Scheinehe und ihre Lösung

한양법학 | 34 | 2011 | 법해석학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관계등록과중혼문제해소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 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improving legal system to solve problems of registering family relations and bigamy by North Korean defectors - basing on the perception survey on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 in Gyeonggi Province -

법과정책연구 | 11 | 2 | 2011 | 법학

Duration Analysis of Cross-Border Marriages: Focusing on Chinese Spouses in Taiwan

결혼 이주민의 결혼지속에 관한 연구: 타이완의 경우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 28 | 1 | 2012 | 사회복지학

PACS(pacte civil de solidarité), 연대의무협약에 대한 연구: PACS 제정 후 십여 년이 지난 지금은?

Étude sur le PACS(pacte civil de solidarité): le PACS d’aujourd'hui, une dizaine d'années après l'institution?

법과사회 | 42 | 2012 | 법학

현행 중국 혼인법의 성립과정에 관한 법사적 고찰

A Law-Historic Study on the Legislative Process of Chinese Matrimony Law

중국법연구 | 16 | 2011 | 비교법학

唐代 治者 입장에서 본 婚姻

从唐代治者角度来看婚姻

중국고중세사연구 | 23 | 2010 | 역사학

唐代 治者 입장에서 본 婚姻

从唐代治者角度来看婚姻

중국고중세사연구 | | 23 | 2010 | 역사학

한국의 혼인과 출산 생애과정: 출생코호트별 및 교육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Birth Cohort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Marital and Fertility Life Course in South Korea

한국인구학 | 35 | 1 | 2012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한국 고대 혼인의 사회사적 함의

On the Social Historical Implication of the Marriage Practices in Ancient Korea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혼인과 이혼의 법경제학

Law and Economics of Marriage and Divorce

법경제학연구 | 9 | 1 | 2012 | 법경제학

혼인의 성립요건에 대한 소고

Eine Studie über das Zustandekommen der Ehe

가족법연구 | 25 | 1 | 2011 | 법학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덕(德)의 의미와 그 수용 양상

Social Ethics and the Reception of the Tales Pattern “Forgiving the Bride Who Gave Birth to on the First Night of Marriage”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