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가례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A020304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세사(명청)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70

한자 : 朱子家禮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d01-04 개념(정의)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예제 [ 禮制 ]

hasSubject (주제)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예송 [ 禮訟 ]

S:동의

UF (비우선어)

 

 

문공 가례 [ 文公家禮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통례 [ 通禮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례언해 () [ 家禮諺解 ]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상례비요 [ 喪禮備要 ]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일생 의례 [ 一生儀禮 ]

affects (영향)

파생관계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례원류 () [ 家禮源流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예설 [ 禮說 ]

RT (관련어)

 

 

역전 (문헌) [ 易傳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예(禮) () [ 禮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교 의례 [ 儒敎儀禮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초상 [ 初喪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시제 [ 時祭 ]

RT (관련어)

 

 

구준 [ 丘濬 ]

RT (관련어)

 

 

문공가례의절 (문헌) [ 文公家禮儀節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례보의 [ 家禮補疑 ]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A Study of Baekun Sim Dae-yun's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 From the viewpoin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19th century new rites -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寒岡 鄭逑의 禮學-禮問答을 中心으로-

Jeong Gu's Lixue -centering around questions & answers about li-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寒岡 鄭逑의 禮學-禮問答을 中心으로-

Jeong Gu's Lixue -centering around questions & answers about li-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세종대왕의 유불화해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Amicable Consciousnes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명말 하남 신안의 『주자가례』의 현장

明末河南新安における『朱子家禮』の現場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명말 하남 신안의 『주자가례』의 현장

明末河南新安における『朱子家禮』の現場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The character of Joseon(Choson)-dynasty Korean Confucianism as seen through it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um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Historical Changes of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in Korea and Cultural Influences of Confucian Rituls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Historical Changes of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es in Korea and Cultural Influences of Confucian Rituls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沙溪 金長生의 정신과 우리나라 정신

The Spirit of Sagye Kim, Jang-Sang and Korean Spirit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례가식四禮家式]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aRyeGaShik Written by Tasan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沙溪 金長生의 정신과 우리나라 정신

The Spirit of Sagye Kim, Jang-Sang and Korean Spirit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家禮』 註釋書를 통해 본 朝鮮 禮學의 進展過程

The Progress of Commentaries for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in Chosun Dynast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家禮』 註釋書를 통해 본 朝鮮 禮學의 進展過程

The Progress of Commentaries for Family ritual according to Master Zhu in Chosun Dynast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17‧18세기 조선사절의 중국 예속 관찰

十七、十八世紀朝鮮使節的中國禮俗觀察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沙溪 金長生의 정신과 우리나라 정신

The Spirit of Sagye Kim, Jang-Sang and Korean Spirit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The Transition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after the Middle Choseon Period

조선시대사학보 | 55 | 2010 | 역사학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The Transition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after the Middle Choseon Period

조선시대사학보 | | 55 | 2010 | 역사학

혼인 습속의 고유성과 무(巫)의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Traditional marriage and Mudanggut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喪禮 爭點을 통해 본 『國朝喪禮補編』의 志向」 - 「古今喪禮異同議」와 『國朝喪禮補編』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通过围绕丧礼展开的论争来看《国朝丧礼补编》的志向 —《古今丧礼异同议》与《国朝丧礼补编》的相关状况为中心—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조선시대 喪葬 공예품의 의미와 구성: 서울`경기 지역 民墓 埋納品을 중심으로

Meaning and Organization of Burial Craftwork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Burial Goods from Civilian Tombs in Seoul and Gyeonggi Area

미술사연구 | 24 | 2010 | 미술

조선시대 喪葬 공예품의 의미와 구성: 서울`경기 지역 民墓 埋納品을 중심으로

Meaning and Organization of Burial Craftwork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Burial Goods from Civilian Tombs in Seoul and Gyeonggi Area

미술사연구 | | 24 | 2010 | 미술

조선시대 喪葬 공예품의 의미와 구성: 서울`경기 지역 民墓 埋納品을 중심으로

Meaning and Organization of Burial Craftwork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Burial Goods from Civilian Tombs in Seoul and Gyeonggi Area

미술사연구 | 24 | 2010 | 미술

조선시대 喪葬 공예품의 의미와 구성: 서울`경기 지역 民墓 埋納品을 중심으로

Meaning and Organization of Burial Craftwork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Burial Goods from Civilian Tombs in Seoul and Gyeonggi Area

미술사연구 | | 24 | 2010 | 미술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퇴계 예설을 통해본 예禮의 기본이념

Basic Ideologies of Ye(禮) based on Toegye's Theory of Ye(禮)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 예설을 통해본 예禮의 기본이념

Basic Ideologies of Ye(禮) based on Toegye's Theory of Ye(禮)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기호학파의 『주자가례』 수용양상

The Adop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by the Kiho School in Korea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기호학파의 『주자가례』 수용양상

The Adoption of Zhu Xi’s Family Rituals by the Kiho School in Korea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의 절충적 論禮 관점

The eclectic perspective on courtesy of Toegye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주자학과 『주자가례』― 이학을 위한 예학

Chu Hsi's Learning and Chu Hs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학과 『주자가례』― 이학을 위한 예학

Chu Hsi's Learning and Chu Hs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釋門家禮抄』의 五服圖 연구

A Research for the Mourning Dress System of Sugmungalyecho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釋門家禮抄』의 五服圖 연구

A Research for the Mourning Dress System of Sugmungalyecho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속의 중국 음식문화

Food and Drink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속의 중국 음식문화

Food and Drink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類書類의 平生儀禮 -『芝峰類設』․『星湖僿說』․ -『松南雜識』를 중심으로-

The rites of passage recorded in Ryuseoryu written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Based on books Jibongyuseol, Seonghosaseol and Songnamjabji-

역사민속학 | 34 | 2010 | 역사학

出土服飾을 통해 본 朝鮮時代 ‘不紐’의 變容

A Study on Changes in the Form of ‘Bulnyu(不紐)’ in the Joseon Dynasty Observed in Excavated Costumes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傳統喪禮 中 ‘不紐’의 朝鮮에서의 適用

Application of the ‘Bulnyu[Buniu: 不紐)’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in Joseon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出土服飾을 통해 본 朝鮮時代 ‘不紐’의 變容

A Study on Changes in the Form of ‘Bulnyu(不紐)’ in the Joseon Dynasty Observed in Excavated Costumes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포은선생 祭禮에 관한 고찰

A Study of Ritual Formalities for Poeun(圃隱)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선생 祭禮에 관한 고찰

A Study of Ritual Formalities for Poeun(圃隱)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선생 祭禮에 관한 고찰

A Study of Ritual Formalities for Poeun(圃隱)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선생 祭禮에 관한 고찰

A Study of Ritual Formalities for Poeun(圃隱)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小考 −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Study of Rites in the Joseon Dynasty - With Focus on the Social Philosophy of Adorno and Horkheimer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朝鮮における『朱子家禮』の施行過程と家禮註釋書に関する研究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朝鮮時代 家禮 硏究를 위한 새로운 視覺과 方法

New Sight and Method for Research on Family Ritual in Joseon Period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Man and Society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Man and Society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고례

『朱子家禮』與古禮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家禮 硏究를 위한 새로운 視覺과 方法

New Sight and Method for Research on Family Ritual in Joseon Period

한국사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명‧청대 『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中國明清時代『朱子家禮』的普及與固定過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명‧청대 『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中國明清時代『朱子家禮』的普及與固定過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중기 주자학자 황종해黃宗海의 ‘가家’에 대한 인식 - 『비풍문규比豊門規』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about Family of Jong-hae Hwang (黃宗海), the Confucianist in the Mid-chosun Dynasty - Focused on -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에 있어서 주자 종법 사상의 계승과 변용 ― ‘시제時祭’와 ‘묘제墓祭’를 중심으로

The Acception and Modification of Zhu Xi′s Confucian clan rules(宗法) in Chosun Dynasty ― Focus on The Sije(時祭) and Myoje(墓祭)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중국 명‧청대 『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中國明清時代『朱子家禮』的普及與固定過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명‧청대 『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中國明清時代『朱子家禮』的普及與固定過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오키나와[琉球]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琉球における『朱子家礼』の受容と普及過程 ― 『四本堂家礼』の性格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ベトナムにおける家礼の受容と展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가정의례교육서’로서의 '주자가례'의 성격과 의의: '소학' 및 '의례경전통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作爲家庭儀禮敎育書的 '朱子家禮' 的性格與意義 -與 '小學'、'儀禮經傳通解' 的關係爲中心-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후기 미토학[水戶學]의 상제례

後期水戸学の喪祭礼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후기 미토학[水戶學]의 상제례

後期水戸学の喪祭礼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