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조 분석 연구- 유형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Khme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ypological characteristics.
한국어교육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느’ 분석론과 ‘있다’, ‘없다’의 문제
Against ‘-neu-’ as a Grammatical Morpheme: Problems Surrounding ‘iss-’ and ‘eops-’
한글 |
296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과 김종삼 시의 수사학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hetoric of Korean poems after Korean War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체수식절의 의미 기능에서의 속성(属性)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일본어학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연체수식절의 의미 기능에서의 속성(属性)
連体修飾節の意味機能における属性
일본어학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소설 텍스트 시제이동의 한 가지 새로운 기능 - 김훈의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
A New Function of Tense Shift in Novel Texts
텍스트언어학 |
28 |
2010 |
언어학
소설 텍스트 시제이동의 한 가지 새로운 기능 - 김훈의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
A New Function of Tense Shift in Novel Texts
텍스트언어학 |
28 |
|
2010 |
언어학
교육문법을 위한 ‘will’과 ‘be going to’의 비교
‘Will’ and ‘Be going to’ for Educational Grammar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교육문법을 위한 ‘will’과 ‘be going to’의 비교
‘Will’ and ‘Be going to’ for Educational Grammar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주자가례』속의 중국 음식문화
Food and Drink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속의 중국 음식문화
Food and Drink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에 있어서 주자 종법 사상의 계승과 변용 ― ‘시제時祭’와 ‘묘제墓祭’를 중심으로
The Acception and Modification of Zhu Xi′s Confucian clan rules(宗法) in Chosun Dynasty ― Focus on The Sije(時祭) and Myoje(墓祭)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시간 관련 범주(시제, 상, 양태)의 문법 교육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Time-related Category(tense, aspect, modality)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어 부동사구문의 시간성에 대한 재고
On the Temporality of the Russian Adverbial Participle Construction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 부동사구문의 시간성에 대한 재고
On the Temporality of the Russian Adverbial Participle Construction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쇠’류 어미의 통시적 변화에 대하여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Ending ‘-tosoj’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초·중·고등학생의 영어 시제·상의 이해력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of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 of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se-aspect Category and expression in Korean :Focused on Aspect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se-aspect Category and expression in Korean :Focused on Aspect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간명사 구문 연구 -관형사절의 시제와 관형사형어미의 의미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emporal nouns - focusing on the tense of adnominal clause and the meaning of adnominal ending-
한국어 의미학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Aspect, Tense and Modality in Biblical Hebrew
개혁논총 |
17 |
2011 |
기독교신학
프랑스어에서 시간개념을 다루는 방식에 관하여
Two treatments of the time in French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Ten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2 |
2010 |
교육학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 이해 및 산출 특성 비교
Ten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2 |
2010 |
교육학
경도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시제이해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ense between Normal and Mildly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3 |
1 |
2012 |
교육학
부사절의 시제와 상 결합 양상 연구
A study on multi-aspects of adverbial clauses' combination of tense and aspect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역사적 현재시제의 담화-화용적 기능
The Historical Present and Discourse Factors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역사적 현재시제의 담화-화용적 기능
The Historical Present and Discourse Factors
현대영미어문학 |
28 |
1 |
2010 |
영어와문학
완곡어법과 시제, 법, 상, 그리고 가능세계
Eufemismo, tiempo verbal, modo, aspecto y mundos posibles
스페인어문학 |
55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완곡어법과 시제, 법, 상, 그리고 가능세계
Eufemismo, tiempo verbal, modo, aspecto y mundos posibles
스페인어문학 |
|
55 |
2010 |
기타스페인문학
Tense and Negation in Tenseless Verbal Conjunctions in Korean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Tense and Negation in Tenseless Verbal Conjunctions in Korean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時祭 전승의 지속과 변화-충청남북도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transmission of Sije (seasonal ancestor-memorial ceremony)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Temporality in Russian: Tense, Aspect, and Aktionsar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English
Временность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Время, Вид, и Способы действия Сравнительное теоритическое исследование с англиским языком
외국학연구 |
17 |
2011 |
기타인문학
시제, 상, 양태
Tense, Aspect, and Modality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