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

연구분야 : A030300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45

STNet ID : 1000645

한자 : 禮制

d01-04 개념(정의)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제도 (체계) [ 制度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예설 [ 禮說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주례 () [ 周禮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주자가례 () [ 朱子家禮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의례 (문헌) [ 儀禮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예기 () [ 禮記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육례 () [ 六禮 ]

北魏後期 洛陽거주 胡人들의 생활과 문화 ― 孝文帝의 ‘漢化政策’의 재검토 ―

The Xianbeis’ Nomadic or Pastoral Culture in After Xiaowen Emperor’s polocy of Sincization in Beiwei Period

중국고중세사연구 | 24 | 2010 | 역사학

北魏後期 洛陽거주 胡人들의 생활과 문화 ― 孝文帝의 ‘漢化政策’의 재검토 ―

The Xianbeis’ Nomadic or Pastoral Culture in After Xiaowen Emperor’s polocy of Sincization in Beiwei Period

중국고중세사연구 | | 24 | 2010 | 역사학

高麗․唐․日本의 律令身分制 연구-천인제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Yullyeong System in Goryeo, Tang, and Japan-Focused on a Lowly Class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

중국 명‧청대 『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中國明清時代『朱子家禮』的普及與固定過程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명‧청대 『주자가례』의 보급과 정착 과정

中國明清時代『朱子家禮』的普及與固定過程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연구지평의 확대와 질적인 수준의 도약을 향해서

Toward the Diversification of the Research Topics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in Ancient Chinese Histor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高麗․唐․日本의 律令制와 婚姻制

Yullyeong System and Marriage Institution of Goryeo,Tang, and Japan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

高麗․唐․日本의 律令制와 婚姻制

Yullyeong System and Marriage Institution of Goryeo,Tang, and Japan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

高麗․唐․日本의 律令身分制 연구-천인제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Yullyeong System in Goryeo, Tang, and Japan-Focused on a Lowly Class

한국민족문화 | 43 | 2012 | 기타인문학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The foreign awareness of Emperor Hongwu and modify of Tribute Institution

명청사연구 | 37 | 2012 | 역사학

唐 前期 官人 父母喪의 확립과 그 성격 ― 心喪·解官을 중심으로 ―

唐前期官人父母丧的确立及其特征 -以心丧․解官为中心

중국고중세사연구 | 28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