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례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980

한자 : 周禮
기타 : Jurye
기타 : Zhouli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d01-04 개념(정의)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예제 [ 禮制 ]

S:동의

UF (비우선어)

 

 

주관 [ 周官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삼례 (문헌) [ 三禮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십삼경 [ 十三經 ]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례원류 () [ 家禮源流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경서 [ 經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예설 [ 禮說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교 의례 [ 儒敎儀禮 ]

RT (관련어)

관련 문헌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옥기 [ 玉器 ]

『高麗史』 禮志 『書儀』 기사의 내용과 의의

『Goryeosa』 『Shuyi』 the article’s content and significance

중앙사론 | 33 | 2011 | 역사학

고대 중국의 지리적 크기와 구조 관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deas of Geographic Size and Structure in Early China

국제정치논총 | 51 | 2 | 2011 | 정치외교학

아르트 샤스뜨라(Arth Shastra)와 주례(周禮): 고대 인도와 중국의 정치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Arth Shastra and Zhouli: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Indian and Chinese Political Institutions

남아시아연구 | 15 | 3 | 2010 | 지역학

아르트 샤스뜨라(Arth Shastra)와 주례(周禮): 고대 인도와 중국의 정치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Arth Shastra and Zhouli: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Indian and Chinese Political Institutions

남아시아연구 | 15 | 3 | 2010 | 지역학

卜·筮와 『易』의 關係에 관한 硏究 - 『周禮』·『書經』·『周易』의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Yeok(易) and Bok-Seo(卜·筮) - through the text in Jurye(周禮), Seogyeong(書經) and Juyeok(周易)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시대 중국의 지식인들은 왜 왕안석에 반대하였는가?

Why were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traditional period against Wang An-shi?

전북사학 | 38 | 2011 | 역사학

卜·筮와 『易』의 關係에 관한 硏究 - 『周禮』·『書經』·『周易』의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Yeok(易) and Bok-Seo(卜·筮) - through the text in Jurye(周禮), Seogyeong(書經) and Juyeok(周易)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漢代 初期 賈誼의 守成的 改制論과 그 時宜的 特性

The Product-keeping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and its timely Characteristic of Jia-yi in the Early Han era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漢代 初期 賈誼의 守成的 改制論과 그 時宜的 特性

The Product-keeping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and its timely Characteristic of Jia-yi in the Early Han era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漢代 初期 賈誼의 守成的 改制論과 그 時宜的 特性

The Product-keeping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and its timely Characteristic of Jia-yi in the Early Han era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漢代 初期 賈誼의 守成的 改制論과 그 時宜的 特性

The Product-keeping Theory of Reforming the System and its timely Characteristic of Jia-yi in the Early Han era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동양 이상사회론의 연원과 그 이념적 성격

The Sources and Ideology of the Ideal Society in Orient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동양 이상사회론의 연원과 그 이념적 성격

The Sources and Ideology of the Ideal Society in Orient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정약용 『經世遺表』 구성의 철학적 원리 : 六經四書에 대한 다산의 經學 註釋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Principles in the Composition of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정약용 『經世遺表』 구성의 철학적 원리 : 六經四書에 대한 다산의 經學 註釋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Principles in the Composition of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漢初 轉換期 賈誼의 儒敎的 禮敎理念과 敎化政策

The confucian courtesy ideology and educational doctrine of Jia-yi in the transitional Early Han era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初 轉換期 賈誼의 儒敎的 禮敎理念과 敎化政策

The confucian courtesy ideology and educational doctrine of Jia-yi in the transitional Early Han era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初 轉換期 賈誼의 儒敎的 禮敎理念과 敎化政策

The confucian courtesy ideology and educational doctrine of Jia-yi in the transitional Early Han era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初 轉換期 賈誼의 儒敎的 禮敎理念과 敎化政策

The confucian courtesy ideology and educational doctrine of Jia-yi in the transitional Early Han era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남송기에 있어서 주례학에 대하여 ― 주자의 『주례』해석을 중심으로

南宋期における『周礼』学について - 朱子の『周礼』解釈を中心に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孔子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孔子"禮"槪念的形成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사학

孔子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孔子"禮"槪念的形成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사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