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292
한자 : 喪
영어 : funeral ceremony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買受人에게 對抗力 없는 賃借人 保護를 위한 立法論的 檢討
A Legislative Study for the Protection of Lessee who can not Oppose power Against Successful Bidder
민사집행법연구 | 7 | 2011 | 민사소송법
국어의 명사 한정 체계
A Study on the Determining System of Noun in Korean Sentence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경과 배경의 관점에서 본 스페인어 복합문 분석
An Analysis on the Spanish Complex Sent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Backgrounding' and ‘Foregrounding'
언어과학연구 | 54 | 2010 | 언어학
전경과 배경의 관점에서 본 스페인어 복합문 분석
An Analysis on the Spanish Complex Sent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Backgrounding' and ‘Foregrounding'
언어과학연구 | | 54 | 2010 | 언어학
‘느’ 분석론과 ‘있다’, ‘없다’의 문제
Against ‘-neu-’ as a Grammatical Morpheme: Problems Surrounding ‘iss-’ and ‘eops-’
한글 | 296 | 2012 | 한국어와문학
Notes on Depictive Secondary Predicates
언어과학 | 19 | 1 | 2012 | 언어학
한국수화의 동사 유형과 수 표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rb Types and Number Expressions in Korean Sign Language
특수교육연구 | 17 | 1 | 2010 | 특수교육
한국수화의 동사 유형과 수 표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rb Types and Number Expressions in Korean Sign Language
특수교육연구 | 17 | 1 | 2010 | 특수교육
러시아어 부동사구문의 시간성에 대한 재고
On the Temporality of the Russian Adverbial Participle Construction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 부동사구문의 시간성에 대한 재고
On the Temporality of the Russian Adverbial Participle Construction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간접화행과 상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Meaning and Usage in Indirect Speech Act and Aspect.
언어과학연구 | 58 | 2011 | 언어학
『周易』 兌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關于『周易』兌卦的丁若鏞之解釋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러시아어 부분생격에 관한 재고찰: 자질 분석적 접근
Re-analysis on Russian Partitive Genitive: VP and NP-related Feature-based Approach
노어노문학 | 24 | 2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시간 관련 범주(시제, 상, 양태)의 문법 교육
The Grammar Education of the Time-related Category(tense, aspect, modality)
한글 | 294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함에 나타난 부정관과 번뇌의 관계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śubha bhāvanā(不淨觀) and The Kliṣṭa(煩惱) in Early Buddhism.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Фразеологизмы с компонентом слова "дорога" по сравнению с корейским языком: Употребление понятия "дорога" в Сибири
어휘 ‘길’을 포함하는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성구표현 비교연구: 시베리아에서의 ‘길’ 개념을 포함하여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1 | 2011 | 러시아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Nien(念) and Chiao(覺) in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focused to the texts of Won-hyo(元曉) and Fa tsang(法藏)-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日本語 動詞의 受動成立과 相과의 相關關係 分析
A Study on the Mutual Relation of Passive Voice and Aspect in Japanese
일본어문학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本語 動詞의 受動成立과 相과의 相關關係 分析
A Study on the Mutual Relation of Passive Voice and Aspect in Japanese
일본어문학 | | 50 | 2010 | 일본어와문학
로렌스의「대위의 인형」: ‘인형’의 역할과 상징성
Symbolic Meaning in D. H. Lawrence’s “The Captain’s Doll”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부사절의 시제와 상 결합 양상 연구
A study on multi-aspects of adverbial clauses' combination of tense and aspect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초·중·고등학생의 영어 시제·상의 이해력 연구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of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 of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시제, 상, 양태
Tense, Aspect, and Modality
國語學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어의 현재완료와 러시아어의 완료상/불완료상
English Present Perfect and Russian Perfective/Imperfective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se-aspect Category and expression in Korean :Focused on Aspect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nse-aspect Category and expression in Korean :Focused on Aspect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La place du temps linguistique dans les différentes variétés de temps et une conceptualisation du temps
다양한 시간 유형 중 언어학적 시간의 위치와 시간의 일반적인 개념
불어불문학연구 | 8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试论现代汉语动词词汇體類型及分类依據
《On Aspectual Classes of Verbs in Modern Mandarin Chinese and the Relevant Classifying Criteria 》
중국문학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试论现代汉语动词词汇體類型及分类依據
《On Aspectual Classes of Verbs in Modern Mandarin Chinese and the Relevant Classifying Criteria 》
중국문학 | 62 | | 2010 | 중국어와문학
시화(詩畵)종합의 전통과 문학교육-회화이미지 ‘형(形)’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Tradition of Interaction between Poetry and Painting & Today’s Education of Literature-Related to the Functions of “Graphic Image,” Xing 形-
문학교육학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그림자 상
Shadow Image
현장과학교육 | 6 | 1 | 2012 | 과학교육학
現代漢語體貌標記的範圍、層次及其與時態標記和情態標記的關係
The Range and Levels of Aspectuality Markers in Modern Chinese and Relevance among the Aspectuality Markers, Temporality Markers and Modality Markers
중국어문논총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現代漢語體貌標記的範圍、層次及其與時態標記和情態標記的關係
The Range and Levels of Aspectuality Markers in Modern Chinese and Relevance among the Aspectuality Markers, Temporality Markers and Modality Markers
중국어문논총 |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중영대조 텍스트를 통해 본 “了”의 시간적 의미
A Comparative Study on Tense between English and Mandarin Chinese
중어중문학 | 48 | 2011 | 중국어와문학
現代漢語動詞動貌類型的補充考察和分析
중국문학 | 72 | 2012 | 중국어와문학
使役成立과 相의 相關關係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Mutual Relation of Causative and Aspects in Japanese
일본어문학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使役成立과 相의 相關關係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Mutual Relation of Causative and Aspects in Japanese
일본어문학 | | 51 | 2010 | 일본어와문학
상, 재현, 언어. 가다머의 언어 개념
Bild, Repräsentation, Sprache. Gadamers Begriff der Sprache
철학 | 110 | 2012 | 철학
가다머의 예술작품의 존재론
Die Ontologie des Kunstwerks bei Gadamer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가다머의 예술작품의 존재론
Die Ontologie des Kunstwerks bei Gadamer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試析現代漢語情狀體的組合
The Composition of Situation Type in Mandarin Chinese
중국어문논총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試析現代漢語情狀體的組合
The Composition of Situation Type in Mandarin Chinese
중국어문논총 | | 44 | 2010 | 중국어와문학
漢語體貌硏究中的槪念界定與區分及術語的選擇
A Survey on the Notions and Terminology about Aspectuality: toward a more efficient study on Chinese aspectuality
중국문학 | 63 | 2010 | 중국어와문학
漢語體貌硏究中的槪念界定與區分及術語的選擇
A Survey on the Notions and Terminology about Aspectuality: toward a more efficient study on Chinese aspectuality
중국문학 | 63 | | 2010 | 중국어와문학
‘南道コリア’의 일본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상적 표현 및 그 외의 문법적 오류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into-Japanese Mistranslations in Namdo Korea
통번역교육연구 | 8 | 2 | 2010 | 통역번역
‘南道コリア’의 일본어 번역 오류에 관한 연구 -상적 표현 및 그 외의 문법적 오류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into-Japanese Mistranslations in Namdo Korea
통번역교육연구 | 8 | 2 | 2010 | 통역번역
성경 헬라어 상 연구: 칠십인경 중심으로
A Study of Aspect in the Biblical Greek
성경과 신학 | 60 | 2011 | 기독교신학
商, 西周시대 商 樣式 圖象文字의 추이 ― 『殷周金文集成』 정리를 통한 商族 추이의 추론 ―
商ㆍ西周时代商代样式图象文字的演变
중국고중세사연구 | 24 | 2010 | 역사학
商, 西周시대 商 樣式 圖象文字의 추이 ― 『殷周金文集成』 정리를 통한 商族 추이의 추론 ―
商ㆍ西周时代商代样式图象文字的演变
중국고중세사연구 | | 24 | 2010 | 역사학
성경 히브리어 동사형태 연구: 시간, 상, 양태를 중심으로
Aspect, Tense and Modality in Biblical Hebrew
개혁논총 | 17 | 2011 | 기독교신학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國語學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mantic change of prefinal ending ‘neu’ in Modern Korean
國語學 | | 5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