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The project of intertextuality through appropriation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s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비)국민의 체념과 자살: 일제말⋅해방공간 성명⋅선거와 도회의원을 중심으로
An ‘Marginal’ Citizen’s Resignation and Suicide in the Literature of the 1940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2 |
2012 |
기타인문학
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The project of intertextuality through appropriation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s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역사극의 새로운 징후들* —3․1절 기념 연극대회 참가작과 ‘과정으로서의 역사쓰기’
New Indications of the Historical Plays During the Post-Independence Period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전형기 구(舊)카프 문인의 현실대응의 두 양상 -한설야와 김남천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wo Aspects of the Former KAPF Writers' Confronting Realities in the Turning Point -Focusing on Novels of Han Seol-ya and Kim Nam-cheon-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형기 구(舊)카프 문인의 현실대응의 두 양상 -한설야와 김남천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wo Aspects of the Former KAPF Writers' Confronting Realities in the Turning Point -Focusing on Novels of Han Seol-ya and Kim Nam-cheon-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프로문학의 정치적 상상력 : 김남천 문학에 나타난 ‘칸트적인 것’들
Political Imagination of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 Kantian Ethics in Kim Nam-Cheon's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역사극의 새로운 징후들* —3․1절 기념 연극대회 참가작과 ‘과정으로서의 역사쓰기’
New Indications of the Historical Plays During the Post-Independence Period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프로문학의 정치적 상상력 : 김남천 문학에 나타난 ‘칸트적인 것’들
Political Imagination of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 Kantian Ethics in Kim Nam-Cheon's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향이라는 法, 김남천의 Moral
The Law of Conversion, the Moral of Kim Namcheon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향이라는 法, 김남천의 Moral
The Law of Conversion, the Moral of Kim Namcheon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설 개조론 연구 - ‘고발문학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gument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Novel -focused on Kim Nam-cheon's Doctrine of the Denunciation Literature
비평문학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 개조론 연구 - ‘고발문학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gument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Novel -focused on Kim Nam-cheon's Doctrine of the Denunciation Literature
비평문학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후 김남천 문학의 수행성과 연속성 -<사랑의 수족관>, <1945년 8ㆍ15>, <동방의 애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formativity of Kim Namcheon’s A Series of Novels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 Mostly referring to Aquarium of Love, 8ㆍ15 in 1945, Lover of the Orient-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남천 소설의 어휘 사용 양상에 대한 계량적 연구
A Quantitative Approach to Keywords in Kim, Namcheon’s Novel.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解放期 女性과 政治:獻身과 贖罪를 통한 政治的 更生 - 『1945년 8.15』와 『東方의 愛人』을 중심으로 -
Women and Politics in the Liberation: Political Rehabilitation through Devotion and Atonement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마르크시즘의 틈과 연대하는 전향자의 표상: 김남천의 「녹성당(綠星堂)」론
A Crack in Marx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a Convert Banding Together: A Study on Kim Nam-Cheon’s Nokseongdang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향자와 그의 아내 -룸펜 인텔리겐챠와 자기반영의 문제들
Lumpen Intelligentsia and the Problems of Self-reflection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전향자와 그의 아내 -룸펜 인텔리겐챠와 자기반영의 문제들
Lumpen Intelligentsia and the Problems of Self-reflection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解放期 女性과 政治:獻身과 贖罪를 통한 政治的 更生 - 『1945년 8.15』와 『東方의 愛人』을 중심으로 -
Women and Politics in the Liberation: Political Rehabilitation through Devotion and Atonement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후 김남천 문학의 수행성과 연속성 -<사랑의 수족관>, <1945년 8ㆍ15>, <동방의 애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Performativity of Kim Namcheon’s A Series of Novels Before and After Korea’s Liberation - Mostly referring to Aquarium of Love, 8ㆍ15 in 1945, Lover of the Orient-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창작 과정에 있어 ‘주체화’의 문제 - 김남천의 ‘일신상(一身上)의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
In the creative process, the problem of 'subjectification' - Focusing on Kim Namcheon's the concept of the truth of the intimate -
한국학연구 |
36 |
2011 |
기타인문학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 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The ‘Arbeitization’ of Novel, The (Unfinished) Project of Roman : Kim, Nam-Cheon around 1940’s, Criticism on Humanities as An Academy, and Its Limit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마르크시즘의 틈과 연대하는 전향자의 표상: 김남천의 「녹성당(綠星堂)」론
A Crack in Marx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a Convert Banding Together: A Study on Kim Nam-Cheon’s Nokseongdang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 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The ‘Arbeitization’ of Novel, The (Unfinished) Project of Roman : Kim, Nam-Cheon around 1940’s, Criticism on Humanities as An Academy, and Its Limit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창작 과정에 있어 ‘주체화’의 문제 - 김남천의 ‘일신상(一身上)의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
In the creative process, the problem of 'subjectification' - Focusing on Kim Namcheon's the concept of the truth of the intimate -
한국학연구 |
36 |
2011 |
기타인문학
전환기로서의 해방기 문학 연구 - 김남천의 신문연재장편소설 『1945년 8ㆍ15』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as a Transition Period - Focusing on Namcheon Kim’s Newspaper Serial Feature Novel, -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전환기로서의 해방기 문학 연구 - 김남천의 신문연재장편소설 『1945년 8ㆍ15』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as a Transition Period - Focusing on Namcheon Kim’s Newspaper Serial Feature Novel, -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