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군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20301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고대사
B160209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역사지리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548

STNet ID : 1001190

한자 : 樂浪郡
기타 : 樂浪郡
기타 : Lelang commandery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낙랑 [ 樂浪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한사군 () [ 漢四郡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초기 철기 문화 () [ 初期鐵器文化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진번군 () [ 眞番郡 ]

RT (관련어)

점령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대무신왕 (18-44) [ 大武神王 ]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Wooden Tablet Culture of Ancient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고대 동아시아 연안항로와 영산강·낙동강유역의 동향-4세기 이전을 중심으로-

Coastal Lines of Ancient East Asia and Developments in the Yeongsan and Nakdong River Basin-Before the 4th century-

『도서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고대 동아시아 연안항로와 영산강·낙동강유역의 동향-4세기 이전을 중심으로-

Coastal Lines of Ancient East Asia and Developments in the Yeongsan and Nakdong River Basin-Before the 4th century-

『도서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樂浪 金銀製鉸具의 제작과 성격

The study on the Gold and the Silver Buckles from Nangnang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72 | 72 | 2011 | 역사학

한군현(漢郡縣) 시대의 경찰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 낙랑군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olice Organization and Function at the Hangoonhyun Period - Focused on the Nangnang District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21 | 2 | 2012 | 행정학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

Nakrang Archeology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한국상고사학보 | 71 | 7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