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군

연구분야 : A020300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B160209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역사지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549

STNet ID : 1001191

한자 : 漢四郡
영어 : Four Commanderies of Han
기타 : Hansagun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한군현 [ 漢郡縣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현도군 [ 玄菟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임둔군 [ 臨屯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진번군 () [ 眞番郡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낙랑군 () [ 樂浪郡 ]

『三國遺事』와 『潛夫論』의 고조선 인식

The Understandings of the Old Choson in the Samguk yusa and the Qianfu lun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三國遺事』와 『潛夫論』의 고조선 인식

The Understandings of the Old Choson in the Samguk yusa and the Qianfu lun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Study on China’s Northeast Project in relation to Go-Joseon and Hansa-gun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Study on China’s Northeast Project in relation to Go-Joseon and Hansa-gun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일본 ‘世界史圖錄’에 나타난 古代 韓國史像

Ancient Korean History Written in a illustrated Japanese history book

백제연구 | 54 | 2011 | 역사학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Critical examination about Japanese colonial history of Gojosun and Tasks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A Study on View of Historical Geography of Sirhak Scholars and Old Chosŏn and Hansagun(Han Chinese Commanderies)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