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심리학

연구분야 : B2101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 심리학이론/심리학사
B2111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 사회/문화심리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652

한자 : 民族心理學
독일어 : Völker psychologie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심리학 [ 心理學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토착 심리학 [ 土着 心理學 ]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 조선민족성 담론의 형성 배경과 논의 방식

A Study on the Modernist Discourses of Koreans: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Chosǒn National Character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2 | 2010 | 기타인문학

Analyse ethnopsychosociale de jeong(情) à travers le discours proverbial et problèmes de traduction

속담 번역 문제를 통한 ‘정 情’의 민족 사회학적 분석

불어불문학연구 | 8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Approche du concept de 정/情/jeong - un realis coréen abstrait, ‘dicible’ ou traduisible en français?

한국의 정(情)이라는 개념의 접근 - 민족성을 나타내는 추상적 개념을 불어로 표현 또는 번역하는 것이 가능한가?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Approche du concept de 정/情/jeong - un realis coréen abstrait, ‘dicible’ ou traduisible en français?

한국의 정(情)이라는 개념의 접근 - 민족성을 나타내는 추상적 개념을 불어로 표현 또는 번역하는 것이 가능한가?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